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면역관문억제제: 최근의 발전과 잠재적 바이오마커들

  • 등록일2020-03-11
  • 조회수5728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03-05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면역관문억제제#바이오마커
  • 첨부파일

 

면역관문억제제: 최근의 발전과 잠재적 바이오마커들


박인근 (가천대학교 길병원 종양내과)



요 약 문

암세포는 면역억제를 유발하는 여러 가지 면역관문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면역억제는 암의 성장 및 진행과 연관되어 있다. 면역관문을 억제하는 단클론항체들은 암 치료법에 큰 전환점을 제시하였으며, 이 중 PD-1/ PD-L1과 CTLA4 억제제는 특히 고무적인 효과를 보여주어 특정 암종에서는 사용 승인이 나 있고 임상시험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다양한 암종의 환자들이 면역관문억제제로 효과를 보고 있지만, 면역관문억제제의 낮은 반응률과 일부 환자에서 발생하는 면역관련 부작용으로 인하여 사용에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반응과 부작용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개발이 필요하다. 이 리뷰에서는 면역관문억제제에 대한 예측 바이오마커-면역세포, PD-L1 발현, 신항원(neoantigen) 그리고 유전자/ 후성유전학적 서명(genetic/ epigenetic signature)를 포함하여-를 살펴볼 것이다. 신빙성있는 바이오마커의 개발은 면역관문억제제를 사용할 때 적절한 대상의 선택과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이다.




[목  차]

1. 서론
2. 면역세포
3. PD-L1 발현
4. 신항원
5. 유전자 서명
6. 후성유전학적 서명
7. 결론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