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단백질·바이러스벡터·RNA순으로 많아
- 등록일2020-03-25
- 조회수3388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3-25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 백신#단백질#바이러스벡터#RNA
- 첨부파일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단백질·바이러스벡터·RNA순으로 많아
- 총 50개 백신 후보물질 중 단백질 백신이 34%로 가장 많은 비중 차지
※ 동아사이언스(’20.3.24., 인터넷 기사)http://dongascience.donga.com/news/view/35408
ㅇ 현재 개발 중인 50개 백신 후보물질*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 조각 주입 백신이 17개로 가장 많은 비중 차지(34%)
* 출처 : 세게보건기구(WHO), 싱가포르국립대 발간 자료
- 그 다음 바이러스 벡터 12개, RNA 8개, DNA 3개, 비활성화 바이러스 1개, 약독화 바이러스 1개, 바이러스 유사입자(VLP) 1개 순
※ 기타 아직 정체가 알려지지 않은 방식이 7개
< 백신 유형별 개념 및 코로나19 백신 후보 비중 >
유형 |
개념 |
단백질 조각 주입 |
바이러스의 단백질 조각을 항원으로 이용하여 인체 내 항체 유발 |
바이러스 벡터 |
바이러스를 다른 안정된 바이러스 게놈(벡터)에 담아 체내에 배달하듯 전달 |
RNA |
RNA 주입으로 인체 내 바이러스 단백질 생성 유도 |
DNA |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플라스미드 DNA를 항원으로 주입 |
비활성화 바이러스 |
병원체를 사멸시켜 병원성을 없앤, 비활성화 시킨 바이러스 주입 |
약독화 바이러스 |
살아있는 병원체를 조직이나 계란, 배지 등에서 장시간 계대 배양하여 독성을 약화시킨 바이러스 주입 |
바이러스 유사입자(VLP) |
바이러스 대신 바이러스와 닮은 구조의 단백질 주입 |
ㅇ 전체 백신 후보 중 전임상(동물실험) 단계 48개, 임상진입·계획 2개
- (임상진입) 미국 국립알레르기 및 감염병연구소(NIAID)와 모더나는 자체 개발 중인 mRNA 백신 후보 임상 1상 시작(3.16, 45명 대상)
※ (원리) mRNA 백신을 주입하면 코로나19를 일으키는 SARS-CoV-2의 세포 침투 과정에 관여하는 ‘스파이크 단백질’ 조각을 생산 → 인체가 인식하여 방어용 항체를 만들게 해 면역 기능 활성화
※ (단점) RNA 백신은 백신 자체의 안정성이 낮음 → 모더나는 안정성이 높은 서열을 발굴해 백신 후보물질 만든 것으로 발표
- (임상계획) 중국 군사의학연구원과 캔시노가 바이러스 벡터 방식의 백신 후보를 임상시험 승인(3.18), 3월 내 시험 시작 계획(108명 대상)
※ (원리) 아데노바이러스 게놈에 목표 유전자를 삽입해 인체에 주입
※ (단점) RNA 백신 대ㅔ비 안정성이 높지만, 바이러스 벡터 자체가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고 제조에 세포가 필요
- (임상준비) 다양한 방식의 백신 후보가 동물실험 중이며, 특히 노바백스, 이노비오가 임상시험 시작 준비
※ (노바백스) 스파이크 단백질 조각을 항원으로 만들어 직접 나노입자에 담아 주입하는 백신 개발 중으로 올해 봄 임상시험 시작 예정
※ (이노비오) 안정적 구조의 DNA 조각을 이용해 유전자를 전달하는 DNA 백신 개발 중으로 올해 봄 임상시험 시작 예정
※ 그 외 중국기업 시노백은 비활성 바이러스 백신 후보 전임상 중이며 인도혈청연구소는 약독화 백신 후보 개발 중
ㅇ 치료제는 기존 후보 약물을 용도만 바꿔 적용하는 ‘약물재창출’ 덕분에 백신 보다 개발속도가 좀 더 빠른 편
- HIV 치료제 후보물질 ‘렘데시비르’(미국 길리어드), 말라리아 치료제 ‘클로로킨’, ‘아비간’(일본 후지필름도야마) 등 실제 환자 투입 사례로 임상시험 결과 확보 중
※ WHO는 4가지 유력한 치료제 후보물질을 이용한 대규모 국제임상시험을 하기로 발표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watch 어떻게 하면 단백질 구조 만큼 RNA 구조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까? 2025-04-03
- BioINwatch AI 기반 De novo 단백질 설계를 통한 항독소 치료제 개발에 관한 연구 2025-03-11
- BioINwatch 바이오신약 개발을 혁신할 AI 단백질 언어 모델 2025-02-14
- BioINwatch RNA 구조체 분석을 통해 규명한 단백질 번역 조절의 새로운 메커니즘 2024-12-05
- BioINwatch '중심 원리(Central Dogma)' 패러다임을 확장한 microRNA 2024-11-18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