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단백질·바이러스벡터·RNA순으로 많아

  • 등록일2020-03-25
  • 조회수3388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3-25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 백신#단백질#바이러스벡터#RNA
  • 첨부파일
    • hwp 20200325 -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단백질·바이러스벡터·RNA순... (다운로드 22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단백질·바이러스벡터·RNA순으로 많아

  - 총 50개 백신 후보물질 중 단백질 백신이 34%로 가장 많은 비중 차지

 

 

※ 동아사이언스(’20.3.24., 인터넷 기사)http://dongascience.donga.com/news/view/35408 


ㅇ 현재 개발 중인 50개 백신 후보물질*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 조각 주입 백신이 17개로 가장 많은 비중 차지(34%)

    * 출처 : 세게보건기구(WHO), 싱가포르국립대 발간 자료

 

   - 그 다음 바이러스 벡터 12개, RNA 8개, DNA 3개, 비활성화 바이러스 1개, 약독화 바이러스 1개, 바이러스 유사입자(VLP) 1개 순

   ※ 기타 아직 정체가 알려지지 않은 방식이 7개


< 백신 유형별 개념 및 코로나19 백신 후보 비중 >

 

유형

개념

단백질 조각 주입

바이러스의 단백질 조각을 항원으로 이용하여 인체 내 항체 유발

바이러스 벡터

바이러스를 다른 안정된 바이러스 게놈(벡터)에 담아 체내에 배달하듯 전달

RNA

RNA 주입으로 인체 내 바이러스 단백질 생성 유도

DNA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플라스미드 DNA를 항원으로 주입

비활성화 바이러스

병원체를 사멸시켜 병원성을 없앤, 비활성화 시킨 바이러스 주입

약독화 바이러스

살아있는 병원체를 조직이나 계란, 배지 등에서 장시간 계대 배양하여 독성을 약화시킨 바이러스 주입

바이러스 유사입자(VLP)

바이러스 대신 바이러스와 닮은 구조의 단백질 주입

noname01.png


ㅇ 전체 백신 후보 중 전임상(동물실험) 단계 48개, 임상진입·계획 2개 

 

   - (임상진입) 미국 국립알레르기 및 감염병연구소(NIAID)와 모더나는 자체 개발 중인 mRNA 백신 후보 임상 1상 시작(3.16, 45명 대상)

     ※ (원리) mRNA 백신을 주입하면 코로나19를 일으키는 SARS-CoV-2의 세포 침투 과정에 관여하는 ‘스파이크 단백질’ 조각을 생산 → 인체가 인식하여 방어용 항체를 만들게 해 면역 기능 활성화 

     ※ (단점) RNA 백신은 백신 자체의 안정성이 낮음 → 모더나는 안정성이 높은 서열을 발굴해 백신 후보물질 만든 것으로 발표


   - (임상계획) 중국 군사의학연구원과 캔시노가 바이러스 벡터 방식의 백신 후보를 임상시험 승인(3.18), 3월 내 시험 시작 계획(108명 대상)

     ※ (원리) 아데노바이러스 게놈에 목표 유전자를 삽입해 인체에 주입

     ※ (단점) RNA 백신 대ㅔ비 안정성이 높지만, 바이러스 벡터 자체가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고 제조에 세포가 필요


   - (임상준비) 다양한 방식의 백신 후보가 동물실험 중이며, 특히 노바백스, 이노비오가 임상시험 시작 준비 

     ※ (노바백스) 스파이크 단백질 조각을 항원으로 만들어 직접 나노입자에 담아 주입하는 백신 개발 중으로 올해 봄 임상시험 시작 예정

     ※ (이노비오) 안정적 구조의 DNA 조각을 이용해 유전자를 전달하는 DNA 백신 개발 중으로 올해 봄 임상시험 시작 예정

     ※ 그 외 중국기업 시노백은 비활성 바이러스 백신 후보 전임상 중이며 인도혈청연구소는 약독화 백신 후보 개발 중


 ㅇ 치료제는 기존 후보 약물을 용도만 바꿔 적용하는 ‘약물재창출’ 덕분에 백신 보다 개발속도가 좀 더 빠른 편


   - HIV 치료제 후보물질 ‘렘데시비르’(미국 길리어드), 말라리아 치료제 ‘클로로킨’, ‘아비간’(일본 후지필름도야마) 등 실제 환자 투입 사례로 임상시험 결과 확보 중

     ※ WHO는 4가지 유력한 치료제 후보물질을 이용한 대규모 국제임상시험을 하기로 발표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