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의료 인공지능 10대 표준화 동향 및 전망
- 등록일2020-04-16
- 조회수4993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0-04-01
-
출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 인공지능
- 첨부파일
의료 인공지능 10대 표준화 동향 및 전망
전종홍 (지능정보표준연구실 책임연구원)
이강찬 (지능정보표준연구실 책임연구원/실장)
ABSTRACT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key strategic direction that has garnered the attention of several global medical device manufacturers and internet companies. Large hospitals are actively involved in different types of medical AI research and cooperation projects. Medical AI is expected to create numerous opportunities and advancements in areas such as medical imaging, computer aided diagnostics and clinical decision support, new drug development, personal healthcare, pathology analysis, and genetic disease prediction. On the contrary, some studies on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in current conditions such as lack of clinical validation, difficulty in performance comparison, lack of interoperability, adversarial attacks, and computational manipulations are being published. Overall, the medical AI field is in a paradigm shift. Regarding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the work on the top 10 standardization issues is witnessing rapid progress and the competition for standard development has become fierce.
KEYWORDS 의료 인공지능,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 Medical AI, Artificial Intelligence
Ⅰ. 서론
2019년 발간되었던 중국의 의료 인공지능 백서 에는 “인류가 4번의 산업혁명을 겪는 동안 중국은 2번의 기회를 놓쳤다.”라는 문구가 실렸었다. 1차 산업혁명과 2차 산업혁명을 따라잡지 못해 역사 속에서 큰 어려움을 겪었다는 반성인 동시에, 4차 산업혁명에 대해서는 이제는 추격자가 아닌 선도 를 하겠다는 큰 의지를 담고 있는 선언문이기도 하다[2].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코로나19 백신 개발 리스트 현황
-
다음글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검사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