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렘데시비르, 리바비린 등 코로나19 치료제 중간점검 결과

  • 등록일2020-04-17
  • 조회수4496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4-17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렘데시비르#리바비린#코로나19 치료제
  • 첨부파일
    • hwp 20200417 - 렘데시비르 리바비린 등 코로나19 치료제 중간점검 ... (다운로드 139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렘데시비르, 리바비린 등 코로나19 치료제 중간점검 결과

- 美연구팀 코로나19 약물 치료 근거 검토결과 아직 효과적 치료법이 없다고 발표


※ 동아사이언스(’20.4.15., 인터넷 기사)http://m.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36014

   

ㅇ 대표적인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현황과 현재까지 효과를 정리한 리뷰 논문에서 아직 효과적 치료법이 없다고 발표(미국의사협회지, 4.13)

 

의약품명

주요 내용(원리, 임상결과 등)

클로로퀸

하이드록시클로로퀸

(말라리아치료제)

-(원리)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침투하기 위해 세포막과 융합하는 과정 차단

- (임상) 중국, 프랑스에서 30여명 대상 소규모 임상 추진 시 효능 미흡

(프랑스) 임상 시 바이러스 불검출 비율 감소 효과를 보았으나 소규모 임상, 맹검시험*부재, 중간 이탈 환자 발생 등으로 불완전한 실험으로 평가

(중국) 30명 대상 무작위대조실험에서 효과 없었고 적정 투약 용량도 미결정

- (평가) 임산부가 쓸만큼 안전하지만 아직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증거 부재

칼레트라

(에이즈치료제)

-(원리) 바이러스 복제 시 필요한 단백질분해효소를 차단해 바이러스 증식 억제

- (임상) 중국에서 199명 환자 대상 임상시험 후 큰 효과가 없음을 확인

-(평가) 코로나19 세포연구 부재, 추가 임상 진행 중이나 코로나19 치료제로서 역할은 제한적일 것

리바비린

(C형 간염치료제)

- (원리) 바이러스 유전물질 중 구아닌(G)과 비슷한 구조를 가진 유사체로, 바이러스 복제 시 구아닌 대신 들어가 복제 중단

- (임상) 사스 환자 대상 임상시험에서 간독성, 용혈성 빈혈 등의 부작용 확인, 메르스 대상 바이러스 제거 효과도 미비

- (평가) 잠재적 독성이 높고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치료 효과는 불분명,

병용요법을 사용하는 경우 임상 효과에 좋은 기회 제공할 것

렘데시비르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 중 임상3상 중단)

-(원리) RNA 염기분자 유사체로, 바이러스 복제를 방해하여 증식 차단

-(세포실험) 항바이러스 효과가 세포 연구에서 입증되었으며 다른 약물 대비 적은 투여량으로 높은 항바이러스 효과 입증

바이러스 반으로 줄이는데 필요한 약물농도(EC50) 수치가 0.77um, 하이드로클로로퀸(6.14um), 클로로퀸(23.9um) 대비 1/8, 1/31 정도로 매우 적은 수치

- (임상) 소규모 임상시험에서 68% 환자가 호흡 개선, 특히 중증환자 대상 치명률이 낮은 편

소규모 임상, 렘데시비르 제조한 길리어드사 후원 연구 결과라는 제한점 존재

- (평가) 가장 주목받는 치료제이나 좀 더 지켜볼 필요

그 외 후보

- (파비피라비르) 바이러스 유전물질 복제 및 전사 방해하는 유사체로, 중간 정도 증상 환자의 회복에만 효과, 그러나 EC50이 렘데시비르의 1/60 수준

- (아비돌) 아직 데이터가 적으나 후속 임상을 기대해볼 만한 약으로 분류

* 맹검시험(블라인드테스트) : 의료진이 투약받은 환자와 시료의 전체 또는 기대된 결과를 알지 못한 채 시험


<코로나19 바이러스 증식과정에 따른 항바이러스 치료제 원리>

noname01.png

※ 출처 : 동아사이언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