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Chronotherapy (시간 요법)의 연구 및 적용 동향
- 등록일2020-04-22
- 조회수4547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0-04-20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Chronotherapy#시간 요법
- 첨부파일
Chronotherapy (시간 요법)의 연구 및 적용 동향
김현민 (기초과학연구원)
요 약 문
지구는 자전을 통해 낮/ 밤, 온도와 같은 약 24시간의 주기적인 사이클을 만들고 우리는 그 리듬에 적응하기 위한 내재적인 시스템인 일주기 생체시계(circadian clock)을 통해서 외부 환경과 잘 적응하여 조화롭게 살 수 있는 방향으로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는 일주기 리듬(circadian rhythm)은 외부 환경 조건에 맞추어 생물들의 생화학, 생리, 행동과 같은 내재적인 과정들을 24시간에 맞추어 조절한다. 최근 들어 신약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생체리듬 조절을 통한 치료법이 관심을 받고 있다. 약물의 효율을 높이고 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질병의 생체리듬을 이해하고 그에 맞춰 약을 처방하는 것이 필요하기에 “시간 요법(Chronotherapy)”이라는 분야가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새로운 의약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도 생체리듬 연구를 통한 투약 시점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기초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진행 중인 임상 시험에서 생체리듬 컨셉을 적용한 의약품의 비율은 아직 낮은 편이다. 이 글에서는 1) 생체리듬이 의약품 개발에 중요한 이유, 2) 시간 요법 (chronotherapy)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설명, 3) 임상시험에 있어서 어떤 관심이 필요한지에 대한 시간 요법(chronotherapy)에 대한 연구 동향을 서술하도록 하겠다.
목 차
1. 생체리듬
2. Chronotherapy (시간 요법)
3. Chronotherapy의 실제 적용
4. 결론
5. 참고문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