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식물 유래의 terpene계 고부가 바이오 화합물 생산을 위한 미생물 개량에 대한 연구동향
- 등록일2020-04-28
- 조회수5261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자료발간일
2020-04-16
-
출처
지능형 바이오시스템설계및합성연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terpene#바이오 화합물#미생물 개량
- 첨부파일
식물 유래의 terpene계 고부가 바이오 화합물 생산을 위한 미생물 개량에 대한 연구동향
한국화학연구원 이주영 (박사), 김재응 (박사), 손소희 (박사과정)
1. 개요
Terpene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천연물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천연 화합물로써, 5만개 이상의 다양한 형태로 자연계에 존재한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terpene계 화합물은 식물에서 얻어지며, 액체 연료로서의 잠재력을 가지는 것은 물론 식품, 제약, 화장품 산업에 응용될 수 있어 산업체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미생물을 이용한 terpene계 화합물의 생합성은 기존의 식물에서 추출하는 방식이 가진 소요 시간 대비 낮은 수율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최적의 생산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Terpene계 화합물은 mevalonate (MEV) 또는 non-mevalonate pathway (DXP)에서 파생된 C5 이소프렌을 기본 구성 요소로 하여 합성된다. 합성된 terpene계 화합물은 탄소의 개수에 따라 hemiterpenes (C5), monoterpenes (C10), sesquiterpenes (C15), diterpenes (C20), triterpenes (C30), tetraterpenes (C40)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림 1). 이러한 terpene계 물질은 Cytochrome P450 oxygenase (CYP)을 통한 산화반응과 glycosyltransferase (GT)를 통한 당화 반응을 통해 더욱 다양한 형태로 변화될 수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