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코로나19 신속 진단을 위한 유전자가위 기술 활용 가속화

  • 등록일2020-05-07
  • 조회수5102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5-07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유전자가위
  • 첨부파일
    • hwp 20200507 - 코로나19 신속 진단을 위한 유전자가위 기술 활용 가... (다운로드 55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코로나19 신속 진단을 위한 유전자가위 기술 활용 가속화

- 감염자와 비감염자의 신속 판별로 코로나19 유망 진단기술 중 하나로 부각

 


※ Genetic Engineering & Biotechnology News(’20.4.20., 인터넷자료), https://www.genengnews.com/insights/covid-19-drives-crispr-diagnostics/

 

ㅇ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임상 실험실이 아닌 현장에서 빠른 진단을 내릴 수 있는 진단기술(point-of-care)의 개발이 절대적으로 중요

 

- 현재 이용 가능한 RT-PCR 진단을 넘어 개선된 더 빠르고, 더 정확하며, 더 저렴한 진단기술 제공을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 중

 

ㅇ 최근 코로나19 감염여부에 대한 신속 진단법으로 ‘유전자가위 기반 진단기술(CRISPR Diagnostics)’이 주목

 

- 현재 Sherlock 바이오사이언스*와 Mammoth 바이오사이언스** 두 개의 신생 바이오기업에서 CRISPR 기반 진단기술을 상용화하기 위해 노력 중

* 미국 캠브리지, MIT, 하버드 Feng Zhang 그룹 기술 기반 스핀오프 기업

** 미국 샌프란시스코; UC Berkeley Jennifer Doudna 그룹 기술 기반 스핀오프 기업

※ (기본 원리) 2개 회사 모두 유전자 편집기술의 초석인 CRISPR-Cas9(유전자가위 단백질)의 사촌격인 Cas12(Mammoth)와 Cas13(Sherlock) 효소 활용

 

기업명

CRISPR

활용효소

작용 원리/핵심 기술

Mammoth바이오

언스

Cas12

- (작용 원리) Cas12와 가이드 RNA(gRNA) 복합체가 코로나19 바이러스 RNA 염기서열을 인식하면, Cas12가 활성화되어 표지 RNA무제한 절단하고, 절단되어 나온 형광 표지자를 종이 스틱으로 검출함

- (핵심 기술)DETECTR(DNA Endonucelase Targeted CRISPR Trans Reporter)

- (특징) SARS 바이러스 검출 확인 논문 발표(네이처 바이오텍, 2020.4)

Sherlock 바이오

언스

Cas13

- (작용 원리)Cas13 효소 활용, 그 외 원리는 Mammoth 기술과 유사

- (핵심 기술)SHERLOCK(Specific High-sensitivity Enzymatic Reporter unLOCKing)

- (특징) 프로토콜 공개

*https://www.broadinstitute.org/files/publications/special/COVID-19"detection"(updated).pdf


 

2개 바이오기업의 진단기술 도식

noname01.png

noname02.png

Mammoth바이오언스

Sherlock 바이오사이언스

 

ㅇ Mammoth 바이오사이언스사의 CEO인 Martin박사는 ‘CRISPR 진단기술이 실제 코로나19 환자 샘플을 이용해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고 강조

 

- 이는 앞으로 CRISPR 진단기술이 연구소 환경이 아닌 공항이나 가정 같은 현장에서 사용이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 또한, CRISPR 진단기술은 다중 연속 검출이 가능하여, 현재와 같은 코로나19 대량 진단에 적합할 것으로 기대

 

ㅇ 그러나, 전문가들의 의견으로는 본 진단기술이 실제 제품 출시까지 해야 할 작업이 아직 많이 남아 있다는 점을 언급

   

- 제품 출시(FDA 승인)를 위해서는 보다 엄격하고 정밀한 연구 프로토콜의 제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공급자, 제조업자 등 파트너와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더 많은 임상시험이 필요함을 강조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