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WHO, 코로나19 ‘휴먼 챌린지’ 8대 윤리적 기준 마련
- 등록일2020-05-15
- 조회수5340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5-15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WHO#코로나19#휴먼 챌린지#8대 윤리적 기준
- 첨부파일
WHO, 코로나19 ‘휴먼 챌린지’ 8대 윤리적 기준 마련
- 윤리성이 확보된 연구 설계·수행을 통한 코로나19 백신 개발 가속화 기대
※WHO,Key criteria for the ethical acceptability of COVID-19 human challenge studies,‘20.5.6.
□ 코로나19 확산 억제 노력으로, 일부 국가에서 백신 개발의 가속화를 위하여 ‘휴먼 챌린지*(Human Challenge Study)’ 시도 논의
* 자발적으로 참여한 정상인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에는 백신을 주입하고, 양쪽에 바이러스는 주입하는 방식으로 백신 후보물질의 효과를 검증하는 임상방법
ㅇ 미국 백신 개발자 및 생명윤리학자 등 전문가들이 ‘백신’ 저널을 통해 ‘휴먼 챌린지’ 제안(‘20.4월)
ㅇ 인도 혈청연구소(SII)에서는 영국 옥스퍼드대 제너연구소에서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의 대규모 생산에 앞서 ‘휴먼 챌린지’를 계획
<이슈1 - ‘휴먼 챌린지’에 대한 윤리적・의학적 논란>
□ 직접 감염을 유도하는 시험 방식과 시험대상자의 건강 위험으로 ‘휴먼 챌린지’에 대한 윤리적・의학적 논란이 제기
ㅇ ‘휴먼 챌린지’는 건강한 시험대상자의 인체에 직접 치명적인 바이러스를 주입한다는 점에서 윤리적 논란 제기
ㅇ 또한 코로나19의 경우 감염자의 약 0.66%가 사망하는 등 높은 사망률로 인하여 의학적 문제도 제기
- 말라리아, 정신 분열증과 같이 젊고 건강한 사람들의 사망률이 낮은 등 치명적이지 않은 질병에 ‘휴먼 챌린지’를 진행
- 기존에도 WHO와 국제의학기구협회(CIOMS), 미 식품의약국(FDA)는 치사율이 높고 적합한 치료제가 없는 질병에 ‘휴먼 챌린지’를 금지
<이슈2 - ‘휴먼 챌린지’를 촉구하는 정치적・사회적 움직임>
□ ‘휴먼 챌린지’의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백신 개발 가속화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정치적・사회적 지지층이 형성
ㅇ ‘휴먼 챌린지’는 환자모집과 임상 시험에 필요한 시간과 피실험자의 수를 줄일 수 있고, 가장 유망한 백신을 선택할 가능성 제고
ㅇ 미국 하원의원 35명이 규제기관에 ‘휴먼 챌린지’ 허가를 촉구하였으며(‘20.4월),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1 Day Sooner’ 캠페인*이 전개
* 백신 개발 가속화를 위해 기꺼이 코로나19에 감염되겠다는 지원자들이 전 세계 102개국에서 16,213명에 달하는 등 지지층 확산(‘20.5.12.기준)
□ 이에 WHO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한 ‘휴먼 챌린지’에 전향적인 태도를 보이며 윤리 논란 최소화를 위한 ‘8대 기준’을 제시
ㅇ ①과학적 정당성 기준, ②위험과 잠재적 이익 분석 기준, ③협의와 참여 기준, ④공조 기준, ⑤장소 선정 기준, ⑥참가자 선정 기준, ⑦전문가 검토 기준, ⑧참가자 동의 기준 등을 제시
ㅇ 이로써 시험대상자 피해 최소화 및 대중의 신뢰 유지 등 신중한 연구 설계를 통하여 공중보건 증진 기대
<기대효과>
□ 전문가, 연구윤리위원회 및 정책입안자 등에 의해 적절히 통제・설계 된 연구가 실시되어, 감염병 전반에 대한 공중보건 개선 예상
ㅇ 제시된 기준은 각국 전문가, 연구윤리위원회, 투자자, 정책입안자 및 규제당국에 인체 유발반응 연구에 대한 지침으로 작용
ㅇ 윤리적・의학적으로 안전한 연구를 통해 백신 개발 가속화 및 가장 효과적인 백신을 선택할 가능성을 제고하는 등 공중보건 증진 기대
<표> 코로나19 바이러스 ‘휴먼 챌린지 연구’의 8대 기준
과학 및 윤리적 평가 |
||
기준 1 |
과학적 정당성 (Scientific justification) |
∙명확한 과학적 정당성 필요 - 공중보건에의 대응 개선을 목표로 하는 연구 및 여타활동의 조정 등 일관성 있는 전략에 정당성 필요 |
기준 2 |
위험과 잠재적 이익 분석 (Assessment of risks and potential benefits) |
∙위험보다 잠재적 이익이 크다는 합리적예측 여부 검토 - 위험과 잠재적 이익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 수량화, 다른 연구 설계와의 비교 등 검토 |
협의 및 조정 |
||
기준 3 |
협의와 참여 (Consultation and engagement) |
∙연구계획을 수립하려면 전문가와 정책당국뿐만 아니라일반 대중의 참여와 논의가 필요 - 공공과 전문가 집단의 견해가 반영되어 업데이트되도록 상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이상적 |
기준 4 |
공조 (Coordination) |
∙연구자, 투자자, 정책입안자, 규제당국의 긴밀한 공조 - 일관된 국제 연구 프로그램 하에 배치하여 연구 데이터의 공개 및 사용 방법 등에 공조 필요 |
선정 기준 |
||
기준 5 |
장소 선정 (Site selection) |
∙과학, 의학, 윤리 측면에서 최고 수준으로 운영되는 연구 장소 - 백신 후보물질의 준비 및 참여자를 안전하게 격리할수 있는 적절한 시설 필요 |
기준 6 |
참여자 선정 (Participant selection) |
∙참여자 선정 과정에서 위험을 최소화하는 기준을 보장 - 참여자 선정 기준은 참여가 가능한 한 안전하다는확신을 갖도록 설계 필요 |
검토 및 동의 |
||
기준 7 |
전문가 검토 (Expert review) |
∙독립된 특별위원회의 검토 - 검토 절차는 고도의 전문 지식을 포함해야 하며 신속하게 수행 필요 |
기준 8 |
참여자 동의 (Informed consent) |
∙참여자들이 연구에 대해 완전히 이해한 후 동의 - 참여자가 연구의 잠재적 위험성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자발적으로 동의 필요 |
* 출처: WHO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
<참고기사 및 문헌>
ㅇ 동아사이언스, WHO "휴먼 챌린지 임상 코로나 백신 개발에 도움” 윤리논란 최소화 위한 8가지 기준 공개, ‘20.5.7.
ㅇ 연합뉴스, WHO "‘인체감염 시험', 코로나 백신에 도움”…‘8대 기준’ 제시, ‘20.5.7.
ㅇ 중앙일보, ‘날 감염시켜라’ 스스로 코로나 소굴 들어가는 영웅 1만5000명, ‘20.5.11.
ㅇ 한겨레, 인도 백신업체 ‘코로나19 도박’…검증 전 생산부터, ‘20.4.29.
ㅇ 헤럴드경제, 일부러 바이러스 감염 후 백신 효과 검증…불 붙는 ‘인체유발시험’ 논란, ‘20.5.3.
ㅇ ABC Health & Wellbeing, Human challenge trials may bring us a coronavirus vaccine early, but are they ethical?, ‘20.4.29.
ㅇ WHO, Key criteria for the ethical acceptability of COVID-19 human challenge studies, ‘20.5.6.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