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Aging in Skin: 분자생물학적 관점과 관련 연구와 기술에 대한 동향

  • 등록일2020-05-28
  • 조회수5315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05-26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분자생물학#노화#피부#anti-aging
  • 첨부파일

 

Aging in Skin: 분자생물학적 관점과 관련 연구와 기술에 대한 동향
 
강성수 (KAIST)
 
요약문
피부 노화는 인류 역사와 평행하게 꾸준히 큰 관심의 대상이었고, 이에 대한 메커니즘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다만 내재적 노화(intrinsic aging)에 대한 근본적 원인에 대한 답조차 찾지 못한 상황에서 피부 노화에 대한 연구는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하는가? 본 보고서에는 피부 노화 현상을 분자생물학적 관점에 대해 바라보고, 관련 연구 및 진행 기술에 대해 살펴볼 것이며, 나아가 어떠한 방향으로 향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지 고찰하고자 한다.  
Key Words: 노화, 피부, anti-aging, 피부 노화
 
[목  차]
1. 서론
2. 본론
  2.1. 노화(aging)의 메커니즘   
  2.2. 피부 노화의 특징    
  2.3. 피부 노화의 원인 및 기작     
  2.4. 피부 노화의 해결 접근     
3. 결론 및 제언 
4. 참고문헌 
 
 
 
1. 서론 
예부터 인류는 끊임없이 노화와 싸워왔고 그 싸움과 도전은 현대에도 이어지고 있다. 과거 진나라 진시황이 불로초를 찾아 헤매고, 클레오파트라가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 꿀과 우유로 목욕을 했다는 기록에서부터, 거대 IT 기업인 구글에서는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프로젝트, 젊은 피 수혈로 “회춘”을 도모했던 벤처 암브로시아(Ambrosia)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례들에서 노화와 싸우고자 하는 인류의 내재적인 욕망과 갈망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사실 노화의 표징은 신체 내, 외부에서 서서히 드러나지만, 실제로 개인이 가장 우선적으로 직감하는 기관은 바로 “피부”라고 할 수 있겠다. 실제 여러 동향 보고서 및 설문 조사에서, 소득 수준의 안정화와 동시에 외적 미용에 대한 관심도는 급상승했으며, 20~34세의 젊은 성인들 역시 개인의 미세 잔주름 및 주름에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1]. 특히 항노화(anti-aging) 개념은 보건의료의 개념이 아닌 “예방 중심의 건강 관리”라는 개념으로 옮겨지고 있으며, 국내 시장 규모 역시 연평균 10.1%의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 글로벌 시장도 마찬가지로 “Research & Markets” 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시장은 66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특히 스킨케어 시장의 확장이 기대된다.  그렇다면 그동안 인류는 항노화(anti-aging)에 대한 정답을 찾았을까? 과연 인류는 노화(aging)를 완벽하게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그 질문에 대한 답은 “maybe No”라고 할 수 있겠다. 일반적으로 대중이나 과학계에 널리 알려진 개념인 활성 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 ROS) 이론은 Denham Harman에 의해 1950년대 제안된 이후로, 노화의 중요한 원인 내지 요소로 지목되었으나, 최근에 이르러서는 오히려 ROS가 외부 노화 자극 신호에 저항하기 위한 매개 역할 또는 항상성 역할을 한다는 연구 등이 발표되어 “신중론”에 무게가 기울어지고 있다. 그 이외에 다양한 노화 이론들은 상반된 연구들이 존재하고 어떠한 일치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이렇게 노화(aging)의 메커니즘을 파악하지 못한 현 상황에서 신체 내 한 기관에 국한된 피부 노화(skin aging)의 원인을 논한다는 것은 다소 난센스일 수도 있을 것이며, 앞으로 많은 과학자들이 풀어나가야 할 숙제이기도 하다. 일반적인(general) 노화 현상과 피부 노화를 별개의 현상이 아닌 연결된 일종의 Communication으로 보는 게 현명하며, 본 동향 레포트에서는 최대한 피부 노화(skin aging)를 전반적인 노화 현상(aging)과 연계 지어 바라볼 것이다. 분자생물학적 관점에서 피부 노화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의 동향을 보며 향후 어떤 방식으로 산업계, 과학계가 접근을 해야 하는지 고민해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