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신종감염병 위기대응 기술(진단,치료,백신) (2020-05)
- 등록일2020-05-29
- 조회수5799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0-05-25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감염병#진단#치료#백신
- 첨부파일
신종감염병 위기대응 기술 (진단, 치료, 백신)
김주원·여창민
[목 차]
제1장 개요 ······················································· 1
제2장 기술동향 ················································ 5
제3장 산업동향 ·············································· 12
제4장 정책동향 ·············································· 17
제5장 R&D 투자동향 ···································· 21
제6장 결론 ····················································· 28
제1장 개요 ······················································· 1
제2장 기술동향 ················································ 5
제3장 산업동향 ·············································· 12
제4장 정책동향 ·············································· 17
제5장 R&D 투자동향 ···································· 21
제6장 결론 ····················································· 28
제1장 개요
1.1. 작성 배경
■ 전세계적인 인구이동 증가와 기후변화, 고령화* 등으로 인해 신종 감염병이 전세계에 번져 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는 팬데믹(Pandemic) 발생에 대한 우려 심화
■ 전세계적인 인구이동 증가와 기후변화, 고령화* 등으로 인해 신종 감염병이 전세계에 번져 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는 팬데믹(Pandemic) 발생에 대한 우려 심화
*인구이동은 감염병의 전파범위를 넓혀 방역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기후변화는 모기 서식지 확산과 동물이동을 증가시키며, 고령화는 면역력이 저하된 취약계층을 증가시킴
ㆍ 지난 100년 간 팬데믹은 1918년 스페인독감(5000만명 이상 사망), 1957년 아시아독감 (100만명 이상 사망), 1968년 홍콩독감(80만명 이상 사망) , 2009년 신종플루(H1N1) 등
※ 팬데믹은 세계보건기구(WHO) 전염단계 중 최고단계인 5~6단계로 국가와 대륙을 넘나들며 전염되고, 사람간 감염이 가능하며 사망 가능성이 있는 경우임
※ 팬데믹은 세계보건기구(WHO) 전염단계 중 최고단계인 5~6단계로 국가와 대륙을 넘나들며 전염되고, 사람간 감염이 가능하며 사망 가능성이 있는 경우임
ㆍWHO에서 선포하는 국제공중보건비상사태(PHEIC, 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는 질병의 국제적 전파에 따라 타 국가에 공중보건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국제적 대응과 공조가 필요한 상태
※ 신종플루(2009), 소아마비(2014), 에볼라(2014), 지카(2015-2016), 에볼라(2018-현재), COVID-19(2019-현재)
※ 신종플루(2009), 소아마비(2014), 에볼라(2014), 지카(2015-2016), 에볼라(2018-현재), COVID-19(2019-현재)
■ 우리나라도 사스(2002), 신종플루(2009), 메르스(2015) 등을 겪었고 최근 COVID-19(2020)로 인하여 다시금 경제적·사회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
ㆍ메르스는 확진환자 186명, 사망 38명에 그쳤으나 장기간*에 걸쳐 경기침체·국민 삶의 질 저하 등 막대한 피해를 주었고, 최근 COVID-19가 발생(2020년 1월 18일 첫 확진자 발생)하는 등 5~7년 주기로 발생이 계속
*발생 218일째인 2015년 12월 23일에 종식
*발생 218일째인 2015년 12월 23일에 종식
■ 지카, 에볼라, 사스, 메르스 등 신종감염병 대부분이 현재까지 뚜렷한 치료제나 백신이 없음
ㆍ최근 발생한 COVID-19이외에도 지카, 사스, 메르스에 상용화된 치료제나 예방백신은 현 단계에서 없음
- 치료제, 백신이 없으면서 중증인 경우 인공호흡기, 체외막산소화장치(ECMO), 투석 등 대증요법과, 스테로이드, 리바비린 등 일반적인 항바이러스제제, 2차 감염으로 인한 폐렴을 막기 위한 광범위 항균제 투입 등의 방법을 활용하나,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님
- 에볼라는 파비피라비르(Favipiravir, 상품명 아비간)가 효과는 확인되었으나, 상용화 전단계로 우리나라에서는 에볼라 국내 유입에 대비하여 비축 중이고 유럽에서는 예방 백신인 Ervebo(미국 머크)가 승인됨
- 조류독감은 항바이러스제인 Oseltamivir(상품명 타미플루), Zanamivir(상품명 릴렌지), Peramivir(상품명 라피밥)를 사용 가능하고, 신종플루는 Oseltamivir(상품명 타미플루)와, 예방백신 사용 가능
ㆍ감염병 치료제 및 백신은 개발 도중 유행이 끝나 경제적 가치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대유행 감염병에 대해서도 적절한 예방이나 치료방법의 개발이 어려움
■ 이에 따라, 최근 글로벌 이슈화한 주요 신종감염병을 대상으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진단기술, 치료기술, 백신개발 관련 국내외 현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 BioINwatch Bio-inspired 기술 - 불가사리 모양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2025-04-21
- BioINdustry 조직진단(Tissue Diagnostics) 산업의 글로벌 성장 기회 2024-11-25
- BioINwatch 동물 감염병 및 인수공통감염병 제어를 위한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sible Vaccines) 2024-10-24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나노의약 소재 연구 동향 2024-10-07
- BioINpro [바이오 신약] tRNA-derived small RNA의 유전자 조절 기전의 이해와 진단/치료제 개발에 대한 전망 2024-08-21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