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Nature Index 한국판, 코로나19 진단키트 만든 한국 연구역량을 집중 조명

  • 등록일2020-05-28
  • 조회수4311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5-28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Nature Index#코로나19#코로나19 진단키트
  • 첨부파일
    • hwp 200528 코로나19 언론동향-네이처 인덱스 한국판 코로나19 진단 ... (다운로드 113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Nature Index 한국판, 코로나19 진단키트 만든 한국 연구역량을 집중 조명


 

※ Nature(’20.5.27., 인터넷 기사), Boosting South Korea’s basic research; How South Korea made itself a global innovation leader;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watch 20-33

 

ㅇ Nature지 ‘20년 5월 27일 Nature Index 2020 Korea 특집호를 발표

 

- 한국 내 상위 50개 기관으로 서울대가 1위를, KAIST가 2위를 5년 연속 차지

 

※ IBS는 ’16년 8위, ’17년 6위, ’18년 7위를 차지한 이후 ’19년부터 3위로 상승

※ 그 뒤로는 연세대, 성균관대, UNIST, 포스텍, 고려대, 한양대, KIST 순

 

ㅇ 특히, 코로나19 진단키트 만든 한국 연구역량을 집중 조명

 

- 코로나19 진단키트 생산업체(코젠바이오텍, 솔젠트, 에스디바이오센서 등)에 대한 한국 정부의 Top-down 정책을 성공적 지원 사례로 소개

 

※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연구재단(NRF)은 감염병 진단 관련업체의 R&D를 지원. Top-down 방식의 정부지원을 받은 4개 업체는 빠른 개발과 생산을 통하여 코로나 사태에 성공적으로 대응

 

<연구재단의 감염병 진단업체 지원내역>

과제명

연구기간

주관연구기관

Multiplex PCR을 이용한 모기 매개 바이러스 진단기술 개발

’15.12’20.8

코젠바이오텍

지카, 뎅기열, 치쿤구니아 바이러스 감별진단 키트 개발

’16.4’19.3

솔젠트

등온핵산증폭 PCR 기반 지카/뎅기열/치쿤구니아 바이러스 진단 기술개발

’16.4’19.3

에스디바이오 센서


ㅇ Nature는 연구재단 기금(NRF funding)을 통한 Bottom-up 방식의 연구지원 성공사례도 소개

 

※ 퇴행성관절염과 콜레스테롤과의 관계규명 연구(‘19년 Nature 발표) 등



<참고> Nature Index 2020에서 본 한국의 경쟁력

 

ㅇ Nature Index 2020에서 한국은 9위로, ’16년 이후 9위를 유지

 

- 한국은 자연과학과 화학에서 강점을 보이며, 생명과학과 지구/ 환경과학의 낮은 비중


<네이처 인덱스 2020 : 국가별 순위(좌) 및 주요 연구분야별 비중(우)>

순위

2019

국가명

share

Count

2018-

2019 차이%

1

USA

20152.48

28403

-4.2%

2

China

13566.11

18026

15.4%

3

Germany

4545.7

8770

-4.1%

4

United Kingdom

3773.66

7837

-2.7%

5

Japan

3024.32

4905

-5.%

6

France

2238.55

5054

-1.6%

7

Canada

1602.09

3408

-4.4%

8

Switzerland

1487.88

3270

1.2%

9

South Korea

1435.23

2419

2.8%

10

Australia

1259.95

2986

-2.8%


noname01.png



* 네이처 인덱스의 AC(Article Count)는 82개 저널에 게재된 우수논문 수(저자 수와 무관)이며, Share Value는 논문 한 편의 기여도 1.0을 공저자 수로 나누고, 공저자 1인의 기여도를 다시 소속기관 수로 나누어 각 기관에 귀속하는 방식으로 보정한 지표(논문 한 편의 Share Value 합계는 1.0)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