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렘데시비르와 COVID-19

  • 등록일2020-06-08
  • 조회수5565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0-05-11
  • 출처
    약학정보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렘데시비르#COVID-19#임상 연구#유효성#안전성
  • 첨부파일

 

렘데시비르와 COVID-19

 

약학정보원 학술정보센터

 

개요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2 (SARS-CoV-2, 종전에는 2019-nCoV로 불림)에 의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예방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진행 중에 있다. 최근 미국국립보건원(NIH) 산하 기관인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NIAID)에서 발표한 대규모 임상 초기 데이터에서 렘데시비르(remdesivir)가 중증 COVID-19 환자의 회복 기간을 감소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5월 1일, 호흡 장애로 인공호흡기 등이 필요 한 COVID-19 중증 입원 환자에 렘데시비르의 긴급 사용 승인(Emergency Use Authorization, EAU)을 발표하였다. 긴급 사용 승인은 연구 진행 중인 단계로 대체 약이 없는 상황 등에서 의약품 사용이 가능하 도록 하는 조치이다. 렘데시비르는 아직 사람에서 치료제로 정식 승인되지 않은 약물로 일부 유효성, 안전 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진행 중인 임상 연구를 통해 유효성과 안전성에 대한 입증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COVID-19 치료에서 잠재적인 후보 약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렘데시비르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키워드

렘데시비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임상 연구, 유효성, 안전성, remdesivir, GS-5734,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2, SARS-CoV-2, COVID-19, clinical trial, efficacy, safety

 

 

렘데시비르란?

렘데시비르(remdesivir, GS-5734)는 구조적으로 뉴클레오시드 유사체(nucleoside analog)이다. 처음 개발 된 형태는 GS-441524로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고양이의 전염성 복막염(FIP) 치료제로 승인된 약물이었으 며, 여기에 인산기를 포함하는 그룹이 추가된 것이 렘데시비르(GS-5734)이다. 모두 바이러스의 RNA-의존성 RNA 중합효소(RNA-dependent RNA polymerase, RdRp)를 타겟으로 한다. 길리어드 사이언스는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중 GS-441524의 효능을 확인하고 이 구조를 최적화하여 렘데시비르(GS-5734)를 도 출하였다. 전구약물(prodrug)인 렘데시비르는 정맥 주사 후, 체내에서 세포 대사를 통해 활성형인 GS-443902로 변환되어 ATP와 유사한 구조로서 RNA 중합효소를 저해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