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렘데시비르, 국내 도입 유력...국내 코로나치료제 개발상황은”
- 등록일2020-06-17
- 조회수3897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6-17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렘데시비르#코로나19#코로나19 치료제
- 첨부파일
렘데시비르, 국내 도입 유력...국내 코로나치료제 개발상황은”
- 식약처 승인 임상 12건, 약물 재창출 전략 중심-
※ 뉴스핌(’20.5.29., http://www.newspim.com/news/view/20200528001132) 등
ㅇ 식약처가 승인한 코로나 19 관련 임상시험계획은 12건 (5.29일 기준)
- 약물재창출로 개발 중이며, 연구자 임상시험*으로 7건 (58.3%)
* 임상시험자가 외부 의뢰 없이 안전성·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의약품 또는 허가(신고)되어 시판 중인 의약품으로 수행하는 임상시험
ㅇ 일약약품 슈펙트(백혈병)는 알팜(러시아 제약회사) 주관하에 러시아 벨라루스에서 145명 환자를 대상으로 2주간 임상3상 승인 (5.28일)
- 임상 완료 후 시판허가를 받으면 알팜은 벨라루스 지역에서의 판매 독점권을 가지고, 일양약품은 그 외 지역에서 임상 결과 권리 행사
ㅇ 대웅제약은 구충제 성분의 니클로사마이드에 대해 국내 임상1상 시험신청을 준비하고, 녹십자(혈장치료제)와 셀트리온(항체치료제)도 국내에서 임상을 계획 중 (‘20. 7월)
연구자임상 |
1상 |
2상 |
3상 |
|||||||||||||||
|
<임상1상 준비>
|
|
<국내기업 해외 임상>
|
■ 약물재창출 치료제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
- 산업동향 일본 코로나 등 진단키트 시장 동향 2024-11-25
- 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접촉추적격리 정책 국제 비교 및 정책 효과 시뮬레이션 연구 2024-08-16
- 제도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이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병원체자원 분양 현황(2020–2023년) 2024-07-24
- 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 대응 거버넌스 변화와 정책에 관한 고찰 (2020년 1월–2021년 12월) 2024-02-07
- 기술동향 만성 코로나19 증후군(Long COVID)의 증상 및 관련 연구 동향 2024-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