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여드름 치료제 개발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 등록일2020-06-29
- 조회수6492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0-06-22
-
출처
지능형 바이오시스템설계및합성연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여드름 치료제
- 첨부파일
여드름 치료제 개발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조주현 교수(경상대학교)
1. 개요
여드름(Acne vulgaris)은 피부 털피지샘단위(pilosebaceous unit)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 환으로, 전세계적으로 85% 이상의 청소년이 경험하는 흔한 질병이다 [1]. 청소년기 여드름 환자 중 20%는 중증도 이상의 여드름을 가지고 있으며, 50% 이상은 성인이 된 후에도 여 드름이 지속된다 [2].
여드름의 발병의 주요 원인으로는 안드로겐에 의한 피지 생성 증가, 털피지샘의 비정상적인 과다각질화로 인한 면포(comedo) 형성, 모낭관 내 여드름균(Cutibacterium acnes)의 집락화 와 증식, 모낭 부위의 염증 발생 등을 들 수 있다. 피지 분비 증가와 모낭의 과다각질화는 미세면포를 형성하게 되고, 이는 모공 내 환경을 변화시켜 C. acnes의 집락화를 유발한다. C. acnes는 keratinocyte와 monocyte를 자극하여 TLR2-signaling pathway를 통해 pro-inflammatory cytokine(TNF-α, IL-1β, IL-1α, IL-8, IL-12)의 발현을 유도한다. 또한 C. acnes로부터 분비된 chemotatic factor는 모낭 주위로 백혈구를 모이게 하여 모낭벽을 자극 하고 파괴시켜, 모낭 내용물이 진피 내로 유입되면서 염증을 확산시킨다 [3-5].
여드름은 증상의 정도에 따라 피부에 영구적인 흉터를 남긴다. 여드름 흉터는 피부 염증으 로 인한 wound healing 과정의 변화로 인해 생성되는데, 전체 여드름 환자의 95% 이상이 여드름 흉터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 30%는 심각한 흉터로 발전한다. 여드름과 더불어 여드 름 흉터는 심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삶의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 문에 초기에 적절히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6]. 본 논고에서는 기존 여드름 치료제의 특징 을 개괄한 다음, 현재 개발중인 새로운 여드름 치료제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2. 기존 여드름 치료제의 종류 및 특징
여드름의 약물치료는 피지분비 조절, 과각질화 방지, C. acnes 증식 억제 및 염증반응의 방
지를 목표로 하며, 여드름 증상에 따라 국소도포제를 이용한 국소치료 및 경구투여제를 이
용한 전신요법이 사용된다(표1) [7].
1) 국소 치료제
(1) Benzoyl Peroxide Benzoyl peroxide(BPO)는 살균제제로 모낭 내에서 활성산소(free oxygen radicals)를 생성하 여 C. acnes의 군집을 감소시키며, 약간의 항염증활성과 면포용해(comedolytic) 작용을 가진 다. 피부자극, 섬유의 탈색, 접촉성 알레르기 반응 등의 부작용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8].
(2) 항생제 국소 항생제 치료에는 주로 clindamycin, erythromycin 등이 사용되며, 피부 표면과 모낭 내 C. acnes의 집락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항염증활성을 나타낸다.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항생제 내성을 유발할 수 있어 주로 benzoyl peroxide와 병용하여 사용된다 [9].
(3) Retinoids 비타민 A 유도체인 tretinoin, adapalene, tazarotene은 면포용해, 모낭 과다각질화 교정, 항 염증활성을 가지고 있어 면포성 여드름 및 염증성 여드름의 일차치료제로 사용된다. 홍반, 건조감, 피부자극 등의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임신 시에는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 다(tretinoin, adapalene: pregnancy category C; tazarotene: category X) [10].
(4) Azelaic acid C9-dicarboxylic acid인 azelaic acid는 C. acnes에 대한 항균작용, 면포용해, 항염증활성이 있 으며, 염증후과다색소침착 개선에도 효과가 있다. 경도의 홍반, 소양감, 표피박탈, 작열감 등 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11].
2) 전신 요법제
(1) 항생제 경구 항생제 치료에는 주로 tetracycline 계열 항생제(minocycline, doxycycline, tetracycline) 와 erythromycin, azithromycin 등이 사용된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항생제 내성 및 설사, 메 스꺼움, 복부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tetracycline 계열 항생제는 치아착색과 태아 골격 성장 저해를 유발할 수 있어 임신부와 소아에게는 투여할 수 없다 [7,12].
(2) Isotretinoin Isotretinoin은 피지분비 억제, C. acnes 증식 억제, 염증 반응 억제, 면포용해 작용 등 여드 름 발병기전 모두에 작용하는 유일한 치료제로서 결절낭종형(nodulocytic) 여드름 및 다른 치료에 반응이 없는 중증 이상의 여드름 치료에 사용된다. Isotretinoin은 피부 또는 점막의 건조, 입술염, 태아기형을 유발할 수 있으며, 우울증 및 자살 등의 정신과적인 부작용도 보 고 되어 있다 [13,14].
(3) 호르몬 제제
경구피임제(estrogen-progestrone 복합제)나 spironolactone 등의 호르몬 제제는 androgen
활성을 낮추어 피지 형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호르몬 제제는 경구용 항생제와 유사한
정도의 효능을 나타내나 증상의 호전을 위해서는 비교적 오랜 기간 투여가 필요하며, 두통, 구토, 생리불순 등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낸다 [15,16].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