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코로나19 감염되지 않은 일부 일반인도 면역력 가져

  • 등록일2020-07-07
  • 조회수3566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7-07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교차반응
  • 첨부파일
    • hwp 20200707_코로나19 모니터링_코로나 19 감염되지 않아도 면역력 ... (다운로드 8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코로나19 감염되지 않은 일부 일반인도 면역력 가져

 

- 다른 바이러스에 반응해 만들어진 면역세포에 의한 “교차반응” 관찰 -

 

※ 동아사이언스(’20.6.29.)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37805

매일경제(’20.4.6.)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0/04/358292/

 

ㅇ 네덜란드 연구팀*은 가벼운 감기를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만들어진 면역세포가 코로나19에도 반응하는 ‘교차반응’을 관찰(Science Immunology)

 

* 네덜란드 에라스무스 의대 바이러스 과학부 로리 드브리스 교수 연구팀

 

※ 관련논문 : Science Immunology, Phenotype and kinetics of SARS-CoV-2-specific T cells in COVID-19 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2020.6.26.

 

- 교차반응(cross-reactivity)이란 특정 항원 결정기*에서 형성된 면역반응이 다른 유사 항원 결정기에 반응하거나, 다른 항원 물질의 동일한 항원 결정기에 반응하는 현상(흔히 하나의 항원 물질에 여러 개의 항원 결정기가 존재)

 

* 면역계가 항원의 존재를 알게 하는 특정한 부위로, 바이러스가 몸속에 들어왔다는 것을 면역세포가 알아차리게 하는 역할. 코로나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할 때 쓰는 돌기(S) 단백질이 대표적.

 

- 연구팀은 코로나19 환자에서 면역세포를 채취하여 SARS-CoV-2 항원으로 자극, T세포 반응을 분석

 

- 실험의 대조군으로 건강한 사람의 면역세포를 채취하여 관찰한 결과, 10명 중 2명이 SARS-CoV-2에 반응하는 T세포를 보유

 

- 연구진은 감기를 일으키는 다른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만들어진 항체가 코로나19에도 반응한 것으로 추정

 

※ 연구팀은 미국, 독일, 싱가포르, 영국에서도 비슷한 연구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고 언급



ㅇ 지난 5월에 미국 스크립스 연구팀은 사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항체 결합위치가 거의 같아 교차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Science)

 

※ 관련논문명 : Science, A highly conserved cryptic epitope in the receptor binding domains of SARS-CoV-2 and SARS-CoV, 2020.5.8.

 

- 항체 결합위치가 거의 같다는 것은 두 바이러스에 똑같이 작용할 수 있다는 걸 시사해 백신 개발에 청신호로 해석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