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약물 치료

  • 등록일2020-07-21
  • 조회수6393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05-04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COVID-19#약물 치료
  • 첨부파일


[BRIC View 리뷰논문요약]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약물치료


이재욱 ((주)로제타엑소좀)

 

요약문

 - 중요성: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가 유발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대유행은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을 탐색하기 위한 전례 없는 도전을 제시한다. SARS-CoV-2에 감염된 수많은 사람들로 인해 생성된 과학적 발견과 임상 연구 결과가 빠르게 늘어남을 감안할 때, 임상 의사들은 COVID-19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명확한 증거를 요구한다.

 - 관찰: SARS-CoV-2에 대해 효과적이라고 입증된 치료 방법은 현재 없다. SARS-CoV-2의 생활사에 대한 지식은 수많은 잠재적인 약물 표적을 제공하고 있다. 렘데시비르(remdemsivir)는 SARS-CoV-2에 대한 강력한 in vitro 활성을 가지고 있지만, 미국 FDA 승인을 받기 위해서 현재 무작위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이다.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는 효능이 있음을 보이지 못했고,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는 현재 사용이 권장되고 있지 않다. 현재의 임상적 증거는 COVID-19 환자에 대해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저해제나 angiotensin 수용체 차단제의 사용을 중지하는 것을 권고하지 않는다.

 - 결론 및 연관성: COVID-19의 대유행은 1918년의 인플루엔자 대유행 이래 잠재적으로 가장 큰 세계적인 보건 위기이다. COVID-19에 대한 잠재적인 치료법을 찾기 위해 빠른 속도로 이뤄지고 있는 엄청난 수의 임상 시험은 대유행 중에도 수준 높은 증거를 확보할 필요성과 능력을 강조한다. 현재까지는 어떠한 치료 방법도 효능을 입증한 바 없다.

Key Words: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 범유행전염병(pandemic), 약물 치료(pharmacologic treatment)

본 자료는 Pharmacologic Treatments for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A Review. JAMA. Published online April
13, 2020. Doi: 10.1001/jama.2020.6019 의 논문을 한글로 번역, 요약한 자료입니다.


[목 차]
1. 서론
2. 방법
3. SARS-CoV-2의 생활사와 약물 치료 표적들
4. 진행 중인 임상 시험
5. 용도 변경된 약물에 대한 검토
 5.1. 클로로퀸(chloroquine)과 하이드록시클로로퀸(hydroxychloroquine)
 5.2. 로피나비르/ 리토나비르(lopinavir/ ritonavir)와 다른 항역전사바이러스 제제
 5.3. 리바비린(ribavirin)
 5.4. 다른 항바이러스 제제
 5.5. 기타 물질
6. 연구 약물에 대한 검토
 6.1. 렘데시비르(remdesivir)
 6.2. 파비피라비르(favipiravir)
7. 보조 요법
 7.1.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
 7.2. 항사이토카인 또는 면역 조절 제제
 7.3. 면역글로불린 치료
8. 최근의 임상 치료 경험과 권고
9. 결론과 한계

 


1. 서론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가 유발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는 2019년 12월에 중국 우한에서 시작하여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범유행 전염병이다. 전 세계에서 2020년 4월 5일을 기준으로 120만 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하였고, 69,0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SARS-CoV-2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 그리고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ERS-CoV)와 비슷하며, 유전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볼 때 박쥐에서 유래한 코로나바이러스가 알려지지 않은 중간 포유류 숙주를 통해 인간에게 전염된 것으로 보인다. SARS-CoV-2의 유전체 서열 분석은 빠르게 이뤄졌고, 이를 바탕으로 진단 검사, 역학 조사, 예방/ 치료 전략들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까지 무작위 임상 시험을 통해 COVID-19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거나 확정된 환자에서 증세를 호전시키는 치료 방법은 명확하게 도출되지 않았다. 또한 예방 치료를 뒷받침하는 임상 시험 결과도 없지만, 현재 300개 이상의 임상 시험들이 이뤄지고 있다. 이 리뷰에서는 COVID-19를 치료하기 위해 제안된 치료 방법들(용도 변경 약물 또는 연구 약물)을 요약하고, 최근의 임상 경험과 치료 지침도 요약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PubMed를 이용하여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1) 2020년 3월 25일까지 출판된 영어 논문; 2) 검색어: coronaviru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2019-nCoV, SARS-CoV-2, SARS-CoV, MERS-CoV, COVID-19를 treatment 및 pharmacology와 조합. 그 결과 1,315편의 논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작위 임상 시험이 없는 관계로, 병례보고, 병례 시리즈, 리뷰 논문들도 포함하였고, 논문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여 논문들을 선정했다. 추가적으로 관련된 논문들은 참고 문헌들을 검토하여 포함하였다. 임상 시험은 ClinicalTrials.gov에서 “coronavirus infection”을 검색하거나, Chinese Clinical Trial Registry에서 “novel coronavirus pneumonia”를 검색하여 확인하였다.




캡처.PNG

 
그림 1. SARS-CoV-2의 생활사 단계와 잠재적인 약물 치료 표적들. SARS-CoV-2가 숙주 세포로 침입할 때, 스파이크 단백질(S protein)이 숙주 세포의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ACE2)와 상호 작용한다. 그 뒤 숙주 세포의 type 2 transmembrane serine protease (TMPRSS2)가 스파이크 단백질을 통해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안으로 들어오게 한다.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안으로 들어오면 viral RNA가 숙주 세포 내부로 빠져나오고, 바이러스 다단백질(viral polyproteins)이 합성된다. 이어서 단백질 분해를 통해 RNA-dependent RNA polymerase를 비롯한 비구조 단백질(non-structural proteins)이 합성된다. 그 뒤 구조 단백질(structural proteins)이 합성되고, 바이러스 입자가 조립되어 세포 밖으로 빠져나간다. SARS-CoV-2의 생활사의 각 단계를 표적으로 여러 약물들이 제안되었다. 
 
빨강: 용도 변경된 약물 또는 연구 약물(밑줄).  파랑: 보조 요법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