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COVID-19의 3가지 측면: 면역반응, 염증반응, 치료제

  • 등록일2020-07-30
  • 조회수5864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06-18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COVID-19#면역반응#염증반응#치료제
  • 첨부파일

 

[BRIC View 리뷰논문요약]

 

COVID-19의 3가지 측면: 면역반응, 염증반응, 치료제

 

최윤찬(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분자미생물학 연구실)

 

요약문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는 2019년 12월에 발생한 전국적인 유행병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의 원인균으로 SARS-CoV-2의 근본적인 생리학적및 면역학적 현상에 대한 이해는 이 질병의 치료제를 고안하고 개발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리뷰에서는 SARS-CoV-2에 대한 초기 보고서들을 바탕으로 SARS-CoV-2와 면역체계의 상관관계,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에 의한 COVID-19의 악화 등 SARS-CoV-2의 병태생리학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를 다루고 분석하였으며, SARS-CoV-2와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코로나바이러스(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SARS-CoV) 및 중동 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의 병리 생리학적 및 면역학적 특징들을 비교함으로써 SARS-CoV-2에 대한 잠재적인 치료제들을 제시하였다.

 

Key Words: 중증 급성 호흡기 중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 2, SARS-CoV-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본 자료는 The trinity of COVID-19: immunity, inflammation and intervention. Nat Rev Immunol 20, 363–374 (2020). 의논문을 한글로 번역, 요약한 자료입니다.

 

 

[목 차]


1. 서론


2. 본론 

  2.1. COVID-19 

  2.2. SARS-CoV-2의 감염 기작 

  2.3. SARS-CoV-2에 의한 숙주 세포 내 염증 반응 

  2.4. COVID-19에 대한 T 세포 면역 반응 

  2.5. COVID-19에 대한 B 세포 면역 반응


3. 결론

 

 

 

1. 서론

COVID-19는 사람을 포함한 다양한 동물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2019년12월 중국에서 처음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그 후 중국을 비롯한 전 세계 여러 지역으로급속하게 전파되었다. COVID-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2020년 3월 11일 COVID-19에 대해 팬데믹(pandemic)으로 선언하였으며, 2020년3월 24일을 기점으로 195개국에서 381,000명 이상의 COVID-19 확진자와 16,000명 이상의 사망자가발생하였다.여전히 여러 국가 및 지역에서 COVID-19 확진자의 수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고보고되고 있지만, 이 질병의 원인 바이러스인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 (severe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에 대한 부족한 정보와 지식으로 인해 이바이러스에 대한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상태이다.본 리뷰에서는 SARS-CoV-2의 병리생리학, SARS-CoV-2와 숙주세포와의 상호작용, SARSCoV-2에 대한 숙주 세포의 면역 반응 등에 관하여 다루었으며, 이 정보들을 바탕으로 SARS-CoV2와 SARS-CoV-2에 의한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에 대한 잠재적인 치료제들을 언급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