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비소세포폐암에서 표적항암제와 면역항암제의 바이오마커 비교 및 대조
- 등록일2020-08-04
- 조회수5576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07-09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비소세포폐암#표적항암제#면역관문억제제#면역치료#정밀의료
- 첨부파일
[BRIC View 리뷰논문요약]
비소세포폐암에서 표적항암제와 면역항암제의 바이오마커비교 및 대조
박상민(한국한의학연구원)
요약문
암 환자들에 대한 개인 맞춤형 의학이 시작되면서 종양의 분자적 발암 경로 및 종양 유전자 중독(oncogene addiction)에 대한 바이오마커를 기반으로 특정 표적치료제 치료를 결정하는 것이 의무화되고 있다. 말기 비소세포폐암의 경우 최근 면역 치료의 혁명, 특히 면역관문억제제의 개발로 치료 환경이 획기적으로 바뀌었다. 본 총설 논문에서는 예측 바이오마커의 역할을 중심으로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면역요법과 종양 유전자 표적 치료의 임상 개발현황을 비교 및 대조한다. 면역요법 바이오마커는 이진(binary)의 범주형 마커가 아닌 연속적인 값을 가지고 있고, 시공간적으로 가변적이며, 하나의 지배적인 결정요인보다는 다중의 복합 상호작용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종양 유전자 바이오마커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면역관문억제제에 대한 각 예측 바이오마커의 오차 요인을 줄이기 위해 서로 다른 마커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예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화학요법과 면역관문억제제의 병용 치료는 바이오마커 발견을 복잡하게 만들지만, 식별된 기존 마커는 여전히 유효하다. 면역 치료의 유익성을 완벽하게 예측하는 바이오마커를 동정할 가능성은 낮지만, 최소한의 유익성이나 심각한 독성 위험을 배제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는 실현 가능하다. 이러한 바이오마커를 임상에서 채택하고 적용하게 될 가능성은 치료 단계와 다른 사용 가능한 치료 대안 그리고 경제적고려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Key Words: 표적항암제, 면역관문억제제, 면역치료, 정밀의료, 환자맞춤형
본 자료는 Comparing and contrasting predictive biomarkers for immunotherapy and targeted therapy of NSCLC. Nat RevClin Oncol 16, 341–355 (2019).의 논문을 한글로 번역, 요약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TKI 치료에 대한 예측 바이오마커
3. 면역 치료에 대한 예측 바이오마커
4. 바이오마커의 비교 및 대조
5. 결론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