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치료 표적으로의 trained immunity
- 등록일2020-08-06
- 조회수4372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07-16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치료 표적
- 첨부파일
[BRIC View 리뷰논문요약]
치료 표적으로의 trained immunity
임원영, 곽승화 (Duke University, USA)
요약문
면역 요법은 꾸준한 연구로 질병 치료 분야에 혁명적 변화를 이루어 왔다. 하지만, 현재 개발 중인 대부분의 면역 요법 전략은 적응 면역 체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지난 10 년동안 선천성 면역 체계의 골수(단핵구, 대식세포 및 수지상 세포) 및 림프(자연 살해 세포 및선천성 림프 세포) 세포는 신진 대사 및 후성 유전학을 통한 새로운 기능과 관계가 증명되었다. 세포의 과민 반응으로 인한 재프로그래밍은 이차적인 자극을 일으키게 되고 선천성면역 기억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다른 용어로는 “trained immunity”라 칭하는데, 이는 면역 항상성, 면역 기폭, 내성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매우 강력한 타겟 체계를 제공한다. 저자는 본 논문을 통해 선천성 면역 세포를 어떻게 공략해야 하는지 그리고 trainedimmunity의 조절을 통한 효과적인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Key Words: 면역요법, 적응 면역, 선천성 면역체계, trained immunity, 면역세포
본 자료는 Therapeutic targeting of trained immunity. Nat Rev Drug Discov 18, 553–566 (2019).의 논문을 한글로 번역, 요약한 자료입니다.
[목 차]
1. 개요
2. Trained immunity
3. Trained immunity의 경로
3.1. Trained immunity의 세포 타입
4. Trained immunity signaling events
4.1. 곰팡이 균에서 Dectin 1-관련 경로
4.2. 박테리아에서 NOD2-관련 경로
5. Trained immunity와 질병
6. Trained immunity의 표적
7. Trained immunity의 증진
8. Trained immunity의 저해
9. 나노 면역요법
10. 특수성의 강화
11. 결론
1. 개요
면역 치료는 21세기에 가장 각광받는 치료법으로 이는 19세기 말 William Coley에 의해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그는 연쇄상 구균의 유기체를 암 환자의 종양에 주입하는 방법을 이용하여많은 환자들을 치료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지난 수십 년 동안, 면역 체계에 관한 추가적인연구를 통해 다양한 치료법들이 개발되었다. 최근에는 사이토카인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적응 면역의세포 단계를 표적한 치료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암 환자에게 가장 많이 이용되는 면역치료법으로는 면역 관문 조절 항암제이다. 뿐만 아니라, cytotoxic T lymphocyte-associated antigen 4(CTLA4), programmed cell death 1 (PD-1)를 표적한 치료들도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외에도 세포를이용한 다양한 치료법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림 1). 이렇게 언급한 면역 치료법들은 적응 면역시스템 세포인 T 림프구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Coley의 접근 방법은 선천성 면역 시스템과 관련된다. 1959년, Lloyd Old와 그의 동료들은 BCG 백신으로 암을 치료하는 연구를 발표하였다.그리고 오늘날, 이 백신은 FDA로부터 방광암을 치료할 수 있도록 허가를 받았으며, 또한 악성종양에서도 BCG 백신이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이 연구되었다. 중요한 부분은 BCG 백신 접종의비상동 영향(heterologous effects)은 trained immunity 발견의 기초가 되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저자는 trained immunity 조절을 위한 표적 접근법의 틀을 제공하고 다양한 면역관련 질병의치료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림 1. Excessive and defective trained immunity in disease.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