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코로나19 공기감염 가능성 제기(7.6) 이후 주요 연구결과

  • 등록일2020-08-18
  • 조회수5002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8-18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공기감염
  • 첨부파일
    • hwp 20200818_코로나19 모니터링_공기감염 가능성 제기 이후 주요 연... (다운로드 14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코로나19 공기감염 가능성 제기(7.6) 이후 주요 연구결과


※ 네이처뉴스(’20.7.23.업데이트)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0-02058-1
중앙일보(’20.7.21) https://news.joins.com/article/23829630
동아사이언스(’20.7.28)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38523
시사IN(’20.8.4)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563

 

ㅇ 미국 연구팀(네브래스카대 등), 코로나19 환자의 일상적 호흡의 미세한 에어로졸 내 바이러스가 생존한다는 결과 발표

 

▸관련논문 : medrxiv, The Infectious Nature of Patient-Generated SARS-CoV-2 Aerosol, 2020.7.13

 

- 연구팀은 코로나19 환자 6명을 선정, 이들의 병실 내 공기시료 채취한 후 에어로졸* 분석을 통해 바이러스 RNA는 에어로졸 크기와 상관없이 모든 환자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는 연구결과 제시

 

* 에어로졸 지름 4.1㎛ 이상, 1~4㎛, 1㎛ 미만 등 세 가지로 구분해 채집

 

※ RT-PCR로 바이러스 RNA를 분석, 감염성 있는 바이러스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원숭이 신장세포(Vero E6)를 사용해 바이러스 배양실험 실시

 

ㅇ 스위스 연구팀(직업환경의학센터), 체내 바이러스량과 코로나19의 개인 간 전파 위험성의 관계를 수학적 모델링으로 비교한 결과 발표

 

▸관련논문 : JAMA Network, Estimation of Viral Aerosol Emissions From Simulated Individuals With Asymptomatic to Moderate Coronavirus Disease 2019, 2020.7.27

 

- 무증상이나 경증, 중증일 경우 바이러스 배출이 낮아 호흡만으로는 전파 위험이 크지 않으나, 기침 등을 할 경우 위험도가 높아지므로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보호 장비 착용 필요

      

※ 코로나19 환자의 비인두와 가래의 바이러스량 데이터를 이용해 호흡이나 기침 시 발산하는 미세입자의 크기와 수로 전파 바이러스를 추정하여 공기 중에 배출되는 바이러스 전파량을 계산 

 

ㅇ 최근 WHO에서 에어로졸과 비말을 통한 코로나19 전파감염 우려로 시급하지 않은 치과진료는 연기할 것을 권고(8.12) 

- 구강검진 등 비필수적인 일상 구강건강 관리는 지역사회 감염이 급감될 때까지 연기하기를 권고 

- 치과 의료진의 코로나19 감염위험이 높고, 특히 초음파 스케일링과 치아 추출 등 과정에서 에어로졸의 생성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