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이야기된 20가지의 치료목록
- 등록일2020-08-20
- 조회수5496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8-20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치료방안
- 첨부파일
Coronavirus Drug and Treatment Tracker
-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이야기된 (the most-talked-about treatments) 20가지의 치료목록 -
※ 뉴욕타임즈(’20.8.10., https://www.nytimes.com/interactive/2020/science/coronavirus-drugs-treatments.html)
ㅇ 뉴욕타임즈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회자되고 있는 코로나19 치료방안 20개(20 of the most-talked-about treatments for the coronavirus)에 대해서 효과성 및 안전성에 따라 분류 및 업데이트(’20.8.10)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방안의 5대 분류기준 및 의미>
5대 분류 |
의미 |
개수 |
Widely Used (널리 사용) |
○ 코로나19를 포함한 호흡기 관련 질병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의료진이 널리 사용한 방법 |
2개 |
Promising evidence (유망한 증거) |
○ 환자 적용에 대한 초기 증거들이 효과성을 입증했으나, 아직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치료방안 ※ 질병률, 사망률, 회복율 측면에서 일부 개선이 보였던 치료법포함 |
2개 |
Tentative or mixed evidence(잠정적인 또는 혼합된 증거) |
○ 세포 또는 동물에서 유망한 치료효과를 보였으나, 인간에서아직 확인되지 않은 치료방안 ※ 본 부류의 일부 치료방안은 각 실험마다 다른 결과를 보이고있으므로 엄격하게 설계된 대규모 연구가 필요 |
11개 |
Not promising (유망하지 않음) |
○ 조기증거들로 보았을 때 치료에 효과가 없음 |
2개 |
Pseudoscience or fraud(의사(擬似)과학 또는 사기) |
○ 전문가들이 사용하지 말 것을 경고하는 치료방안 ※ 질병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위험할 수 있음 |
3개 |
출처 : The New York times(’20.8.10)
구분 |
의미 |
5대 분류 및 비고 |
바이러스 차단 (Blocking the Virus) |
① Remdesivir(렘데시비르) -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FDA로부터 응급허가를 받은 최초의 약물로서 바이러스 유전자에 약물이 삽입되어 복제를 차단 - 애초에 에볼라 및 C형 간염에 대한 항바이러스제로 테스트 되어 결과가 좋지 않았으나, 최근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들의회복시간을 15일에서 11일 수준으로 감소시킴 - 본 약물에 대한 지난 임상데이터는 중증 환자들의 사망률 저감에 기여할 수도 있음을 시사 |
Promising evidence ※ 비상 사용 승인 치료제 |
② Favipiravir(파비피라비르) - 인플루엔자에 대응하기 위해 고안된 약물로서, 바이러스의유전물질 복제 능력을 차단 - 3월경 실시된 소규모 연구는 기도(氣道, airway)에서 코로나바이러스의 제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으나, 보다 대규모의 정밀한 임상실험은 계류중 |
Tentative or mixed evidence |
|
③ MK-4482 - 인플루엔자에 대응하기 위해 고안된 약물로서(이전 명칭은 EIDD-2801), 세포 및 동물연구에서코로나19대응에 유망한 결과를 보였으며, 9월경 대규모 임상3상 실험을 예정(Merck社) |
Tentative or mixed evidence |
|
④ Recombinant ACE-2(재조합 ACE-2) - 코로나19가 세포에 침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간 ACE-2 단백질에 결합하므로, 유인물 역할을 할 수 있는 인공적인ACE-2 단백질을 제작하여 코로나바이러스를 취약한 세포로부터 멀어지게 함 - 재조합 ACE-2는 세포실험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나, 동물 및 사람에서는 아직 특별한 결과가 도출되지는 못하고 있음 |
Tentative or mixed evidence |
|
⑤ Ivermectin(이버멕틴) - 기생충 치료를 위한 강력한 약물로 수십년간 사용됨 ※ 기생충으로 인한 인간의 질병 및 개 심장사상충 치료 등 - 세포실험에서 코로나 바이러스를 차단한다는 일부 보고가 있었으나(’20년 4월 경), FDA는 코로나19 치료목적으로 사용하지 말 것을 경고 ※ 라틴아메리카에서 자주 처방되고 있어 전문가들의 우려 증대 - 일부 연구팀에서 이버멕틴의 안전한 용량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효과가 있다는 증거는 없음 |
Tentative or mixed evidence |
구분 |
의미 |
5대 분류 및 비고 |
|
⑥ Lopinavir and ritonavir(로피나비르와 리토나비르) - 에이즈감염 치료를 위해 20년전 FDA승인을 획득한 약물 조합으로서, 최근 실험에서 코로나19의 복제 저해를 확인 - 그러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은 효과가 부족하여 WHO는 지난 7월 환자 임상시험을 중단함 ※ 다만, 경미한 환자에 대한 효과및 코로나19에 노출된 사람들이질병상태로 가는 것을 막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열어둔 상태이며, 약물 병용 치료에 대한 사용 가능성도 열려 있음 |
Not promising |
⑦ Hydroxychloroquine and chloroquine (하이드록시클로로퀸 및 클로로퀸) - 말라리아 치료제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이 세포 내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복제를 막을 수 있음이 코로나19 대유행 초기에 발견 - 그러나, 원숭이 실험에서 동물 감염을 막지 못했으며 병에 걸린 후 체내의 바이러스도 제거하지 못하고, 건강한 사람들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 막지도 못했음 ※ (클로로퀸) 1930년대 개발된 말라리아 대응 약물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은) 클로로퀸 개선품으로서, 1946년 개발되어 루프스 및 류마티스 관절염에도 사용 - FDA는 본 약물을 코로나19 치료에 사용 시 심장 및 체내 기관에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음을 경고 - 이론적으로는 다른 치료법과 병행하여 질병 초기 단계에 투여 시 약간의 이점을 제공할 수는 있겠으나 잘 설계된 임상시험이 필요 |
Not promising |
|
면역체계 모방 (Mimickingthe Immune System) |
⑧ Convalescent plasma(회복기 혈장) - 회복환자 유래의 회복기 혈장은 아직 안정성과 효과성이 증명되지 않았으나 美FDA는 시험용 제품으로 지정하여 임상시험에서 혈장을 사용하고 코로나19 중증환자에게 투여 가능 - 회복기 혈장의 안정성 및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임상시험들이 더 필요하며, 혈장 임상시험이 성공하면 다른 강력한 치료법이 개발될 때까지 중요한 임시조치로 활용될 수 있음 |
Tentative or mixed evidence |
⑨ Monoclonal antibodies(단일클론 항체) - 코로나19에 대한 가장 강력한 항체를 찾고 이에 대한 합성사본을 제조하여 치료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시도 - 최근 각국의 기업 및 연구자들은 단일클론항체를 연구하는 임상시험을 진행 중 |
Tentative or mixed evidence |
구분 |
의미 |
5대 분류 및 비고 |
|
⑩ Interferons(인터페론) -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시 체내 방어체계 분자인 인터페론의약화가 관찰되었으며, 체내 인터페론 수준 향상이 코로나19극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음 - 美NIAID(국립 알레르기 및 전염병 연구원)는 인터페론 약제 (Rebif)와 렘데시비르 등의 조합에 대한 임상 3상을 시작 ※ 2020년 가을 경 결과도출을 기대 |
Tentative or mixed evidence |
면역과잉 억제 (Putting Out Friendly Fire) |
⑪ Dexamethasone(덱사메타손) - 이미 널리 보급·사용되고있는 스테로이드로서(알레르기, 천식, 염증 치료 등), ’20년 6월 경 코로나19 사망 감소효과 발견 ※ 인공호흡기 사용 환자 사망의 1/3, 산소사용 환자 사망의 1/5 - 그러나, 감염 초기 단계의 환자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거나유해할 수도 있음 - 美NIH는 인공호흡기 사용 환자 및 산소보충를 받는 코로나19환자에게만 덱사메타손 사용을 권장함 |
Promising evidence |
⑫ Cytokine Inhibitors(사이토카인 억제제) - 체내 면역신호 분자인 사이토카인은 감염에 대해 과잉반응 (Cytokine storm)할 수 있으며, 사이토카인 폭풍을 막기 위한 서로 다른 원리의 방법들이 개발 중 ※ 사이토카인 생산 분자의 공급 차단, 면역세포의 사이토카인 수용체 차단, 사이토카인 관련 세포 신호전달 차단 등 ※ 최근 리제네론과 로슈는 Cytokine IL-6 억제 약물들(사릴리루맙, 토실리주맙)이 3상 시험에서 환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음을 보고 |
Tentative or mixed evidence |
|
⑬ Blood filtration systems(혈액 여과 시스템) - Cytokine storm(사이토카인 폭풍)을 완화하기 위한 혈액여과 장치로서, 중증 환자에게 일부 도움을 주었지만 효과성에 대해서는 아직 결론이 도출되지는 못했음 ※ (예) Cytosorb : 24시간 동안 약 70번 환자혈액 정화 - 전문가들은 이러한 장치가 혈액의 유익한 성분까지 제거하여 일부 위험이 수반된다는 점을 경고 |
Tentative or mixed evidence |
|
⑭ Stem cells(줄기세포) - 특정 줄기세포 종류는 항염증 분자를 분비할 수 있으며, 이를 사이토카인 폭풍 치료제로 사용하려는 연구 진행 중 - 그러나, 효과성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하지 않음 |
Tentative or mixed evidence |
구분 |
의미 |
5대 분류 및 비고 |
또 다른 종류의 치료법들 (Other Treatments) |
⑮ Prone positioning(엎드린 자세) - 환자를 엎드리게 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폐를 열리게 하여 인공호흡기 필요성을 낮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임상을 통해 계속 테스트 중 |
Widely Used |
⑯ Ventilators and other respiratory support devices(인공 호흡기 및 기타 호흡 보조 장치) - 호흡 보조장치는 호흡기 질환과의 싸움에서 환자에게 필수적인 도구로서, 인공 호흡기를 사용하는 모든 코로나19 환자가 생존하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경우에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데 도움이 됨 |
Widely Used |
|
⑰ Anticoagulants(항응고제) - 코로나 바이러스는 혈관 내막의 세포를 침범하여 혈전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의사들은 혈전이 있는 일부 코로나19 환자에게 사용하고 있음 - 혈액 응고 징후 사전에 항응고제를 투여하는 것이 유익한지에 대해서도 연구 중 |
Tentative or mixed evidence |
|
절대 하지말아야 할 것들 (WARNING: DO NOT DO THIS) |
⑱ Drinking or injecting bleach and disinfectants(표백제, 소독제 음용 또는 주입) - 효과 없으며 인체에 치명적일 수 있음 |
Pseudoscience or fraud |
⑲ UV light(인체에 대한 자외선 충격) - 바이러스에 대한 자외선 공격은 살균에 효과가 있으나, 환자에 대한 자외선 충격은 효과가 없으며 피부질환 유발 |
Pseudoscience or fraud |
|
⑳ Silver(은으로 만든 제품) - 일부 금속이 자연적인 항균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관련 제품들이 코로나 바이러스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것으로 밝혀지지는 않음 |
Pseudoscience or fraud |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
- 산업동향 일본 코로나 등 진단키트 시장 동향 2024-11-25
- 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접촉추적격리 정책 국제 비교 및 정책 효과 시뮬레이션 연구 2024-08-16
- 제도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이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병원체자원 분양 현황(2020–2023년) 2024-07-24
- 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 대응 거버넌스 변화와 정책에 관한 고찰 (2020년 1월–2021년 12월) 2024-02-07
- 기술동향 만성 코로나19 증후군(Long COVID)의 증상 및 관련 연구 동향 2024-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