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근육 줄기세포 지지 그룹: 근육 재생 과정 중 조직적인 세포 반응

  • 등록일2020-08-21
  • 조회수6277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08-13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근육 줄기세포#줄기세포#근육 재생#골격근 재생
  • 첨부파일

 

[BRIC View 리뷰논문요약]

 

근육 줄기세포 지지 그룹: 근육 재생 과정 중 조직적인 세포 반응

 

최정문(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요약문

골격근은 조직 특이적인(tissue-specific) 근육 줄기세포 덕분에 뛰어난 조직 재생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효과적으로 조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국소적인 환경(local milieu)에 존재하는 다른 세포들의 존재와 역할 역시 중요하다. 이 리뷰에서는 골격근 재생에 기여하는 추가 세포들을 논평한다.

 

Key Words 근육 줄기세포 (muscle stem cell), 골격근 재생 (muscle regeneration), 국소적 환경(local milieu)

 

본 자료는 A Muscle Stem Cell Support Group: Coordinated Cellular Responses in Muscle Regeneration Dev. Cell 46(2) 2),135 143 (2018 의 논문을 한글로 번역 , 요약한 자료입니다

 

[목  차]

1. 서론

2. 근육 줄기세포(Muscle stem cells; MuSCs)

   2.1. 근육 줄기세포

   2.2. 줄기세포 지지 그룹 : 조직 재생 환경의 세포들

   2.3. 근육성 세포로의 분화능(Myogenic potential) 을 갖는 간질 세포 (Interstitial cells)

3. 섬유 지방성 전구세포(Fibro adipogenic progenitors; FAPs)

4. 면역 세포

   4.1. 대식 세포

   4.2. 추가 면역 세포 : 호산구(Eosinophils), 조절 T 세포(Regulatory T cells), 호중구(Neutrophils)

5. 내피 세포(Endothelial cells)

6. 주피 세포 (Pericyte)

7. 결론

 

 

1. 서론

골격근은 신체 총 질량의 약 35% 를 차지하는 가장 큰 기관계이다 움직임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하고 저장할 뿐만 아니라 조직의 손상 시에 뛰어난 재생 능력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재생 과정은 고도로 조직적인 세포 과정 (cellular process) 이며 , 염증 반응으로 시작해 괴사 주기를 거쳐재생 단계로 이어진다 원인을 불문하고 적절한 조직 재생이 필요 시에 일어나지 않는다면 생물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부상 이후 일어나는 근육 재생에 대해 구조적 , 기능적인 측면에서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

 

이 리뷰의 목적은 부상 이후의 세포 과정 cellular process) 을 설명하 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재생 중 근육 줄기세포 (muscle stem cells;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비 근육성 세포 nonmyogenic cells) 들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앞서 재생 과정에서 가장 주목받고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MuSCs 에 대해 간단히 리뷰하고 넘어가겠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