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BIO ECONOMY BRIEF]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기술 및 시장 트렌드

  • 등록일2020-08-24
  • 조회수5196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08-11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한국바이오경제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급성 골수성 백혈병#백혈병
  • 첨부파일
    • pdf [BIO ECONOMY BRIEF] 93호_급성 골수성 백혈병 기술 및 시장 트렌... (다운로드 248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BIO ECONOMY BRIEF]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기술 및 시장 트렌드

 

주예령 주임 (정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문지숙 교수 (CHA 의과학대학교)

 

□ 배경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은 성인에서 가장 흔한 유형의 백혈병으로 2019년 미국에서는 2만 1천건 이상의 신규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환자의 평균 연령은 68세로 5년 이상 생존률은 28% 정도로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음.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가장 흔한 형태의 백혈병으로, 주로 성인에게 발병하며, 나이가 많을수록발병률이 증가함. 급성 백혈병은 백혈구가 악성세포로 변하여 골수에서 증식하여 말초혈액으로퍼져 나와 전신에 퍼지게 되며, 간, 비장, 림프선 등을 침범하는 질병으로 정확한 발병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흡연, 유전적 소인, 방사선조사, 화학약품 등에 대한 직업성 노출과 항암제 등치료 약제가 원인으로 추정됨.

 

FMS-like tyrosine kinase 3 (FLT3; 전체 환자의 30% 이하), isocitrate dehydrogenase 1(IDH1; 전체 환자의 6–10%) 및 IDH2 (전체 환자의 9–13%) 유전자 서열의 돌연변이를 포함한분자의 비정상성 분석은 규정화 되어 진단, 예측 및 치료의 결정에 활용됨.

 

이러한 돌연변이를 타겟으로 하는 약물을 포함한 최근 승인된 약물은 전체적인 AML의 치료법을변화시켰으며, 신규한 약물들은 현재 후기 임상을 수행중임.

 

 

□ 현재 치료법

 

1. 신규 AML신규 AML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75세 미만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집중관해유도치료로서 표적항암제의 유무와 관계없이 cytarabine과 anthracycline혼합물을 활용하며, FLT3 억제제midostaurin (Rydapt; Novartis)은 집중화학 요법과 조합하여 FLT3-mutated AML에 대하여 승인받음.

 

2000년에는 anti-CD33 항체-약물결합체인 Gemtuzumab ozogamicin (Mylotarg; Pfizer)는재발성 AML에 대하여 승인 받았으나 2010년 수행된 확인시험에서 실패와 안전성과 관련한 우려로 인해 약물을 회수하였고, 2017년에는 더 낮은 투여량을 기준으로 신규 CD33 발현 AML에서 승인받았으나 치명적인 간독성을 나타냄.

 

cytarabine과 daunorubicin혼합 리포솜 제제인 CPX-351 (Vyxeos; Jazz Pharmaceuticals)는AML의 2차 치료제로 출시됨.

 

현재 노인(75세 이상)이거나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는 집중관해유도에 적합하지 않아 저메틸화제(azacitidine 또는 decitabine) 혹은 저용량 cytarabine (LDAC)을 투여하고 있으나 최근 Bcell lymphoma 2 (BCL2) 억제제 venetoclax(Venclexta / Venclyxto; AbbVie / Roche)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활용하여 환자를 치료하는 것으로 치료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음.

 

VIALE-A 및 ALE-C 임상 3상 과정을 수행중에 있으며, 허가를 완료받기위해 확인 시험을 수행하였고, Hedgehog pathway inhibitor인 Glasdegib (Daurismo; Pfizer)는 LDAC과 함께 2018년 FDA승인을 받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