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항암 면역세포치료제에 대한 국내외 동향 및 FDA 허가 현황

  • 등록일2020-08-26
  • 조회수8871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08-18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항암#면역#세포치료제#CAR-T
  • 첨부파일

 

[BRIC View 동향리포트]

 

항암 면역세포치료제에 대한 국내외 동향 및 FDA 허가 현황

 

김주경, 정희진 (홍익대학교)

 

 

요약문

면역세포 치료제는 환자의 혈액에서 T 세포를 추출하여 강화 , 변형시킨 다음에 다시체내에 주사해 암세포를 보다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 있도록 하는 면역 항암제로 제 4 세대항암제 로 불리기도 한다 . 면역세포 치료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Chimericantigen receptor, CAR) T 세포 치료제 , CAR NK 세포 치료제가 있으며 , 면역세포의 CAR 에 T/NK 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보조인자를 부착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효과를 높인다 . 본원고에서는 항암 면역세포치료 제의 개념을 시작으로 하여 국내외에서 행해지고 있는연구내용 및 FDA 의 허가를 받아 실제로 의약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예를 포함한 국내외개발 동향을 정리한다

 

Key Words: 면역세포 치료제, CAR-T 세포 치료제, CAR-NK 세포 치료제, FDA 승인

 

 

[목  차]

1. 서론

2. 본론

   2.1. 단순 체외 배양 면역세포 치료법

   2.2. 유전자 개량 면역세포 치료법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면역항암제는 암 세포 자체를 공격하는 기존 항암제와는 달리 우리 몸의 면역 체계를 자극해면역 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암 치료제로 크게 면역관문 억제제 (immune checkpointinhibitor), 항암 면역치료 백신 anti cancer immunotherapeutic vaccine )), 면역세포 치료제 (immunecell therapy) 로 나뉜다.

 

면역관문억제제는 암세포를 공격하는 T 세포 의 활동을 무력화시키는 면역관문 단백질 (PD1, PD L1, CTLA 4 등 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관문 단백질의 활성 을 차단해 T세포 가 제대로 기능하도록 한다.

 

항암 면역치료 백신은 면역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백질 펩타이드 분자를 암환자에게 투여하여 면역체계를 활성화시 킴으로써 체내 면역기능을 증진하고 암세포 가 공격 되도록 하는 면역치료법이다.

 

면역세포치료제는 환자의 혈액에서 T 세포를 추출하여 강화 , 변형시킨 다음에 배양 후 다시 체내 에 주사해 암세포를 보다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 있도록 하는 면역 항암제 로 제 4 세대 항암제로 불리기도 한다. 최근에 연구되는 면역세포 치료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T 세포 치료제 , CAR NK 세포 치료제가 있으며 , 면역세포의 CAR에 T/ NK 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보조인자를 부착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효과를 높인다 체내에 오래 머무를 수 있어 살아있는 약물 로도 불린다 세계적으로 임상만 100 여 건이 시행되고 있으며 , "킴리아", "예스카타" 라는 제품명으로 실용화되어 만성림프구성 백혈병 과 같은 혈액 암 치료에 사용되고있다 . 다만 최근의 연구 결과에서 사이토카인 신드롬이라고 불리는 면역의 과다 활성 때문에 생기는 부작용 근육통 , 고열 등 이 발생하고 정상적인 B 세포 항체를 생산하는 면역세포를 공격 한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되었다.

 

본 원고에서는 항암 면역세포치료제 의 개념을 시작으로 하여 국내외에서 행해지고 있는 연구내용 및 FDA 의 허가를 받아 실제로 의약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예를 포함한 국내외 개발 동향을 정리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