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세포유리 핵산(cfDNA, cell-free DNA)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1) [R&D Brief 2020-13]

  • 등록일2020-08-27
  • 조회수6338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08-20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세포유리#핵산#연구동향
  • 첨부파일

 

[NRF R&D BRIEF 2020-13호]

 

세포유리 핵산(cfDNA, cell-free DNA)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1)

 

1. 세포유리 핵산(cfDNA)이란?

ㅇ Cell-free DNA(이하 cfDNA)를 의미하며, 세포 안에 존재하지 않고 혈액에 떠돌아다니는평균 길이 약 170bp의 DNA 조각을 의미

 

cell free DNA(cfDNA)란 좀 더 자세히 말해, 순환종양 DNA(circulating tumor: ctDNA), 면역반응을

통해 방출된 작은 단편의 비-세포성 DNA(cfDNA), 및 비-세포성 태아 DNA (cffDNA)를 포함하여

혈류를 자유롭게 순환하는 다양한 형태의 DNA를 일컬음

암 환자의 혈액에는 cell free DNA(cfDNA)가 증가됨이 보고된 바 있으며, 암세포에서 배출된 cfDNA

cell free tumor DNA(ctDNA)로 명명됨. 암세포가 파열되어 사멸하는 경우 그 찌꺼기가 혈류 속으로

방출되는데, 그 속에서 종양의 DNA가 포함된 것을 말함

출처 : 혈액을 떠다니는 DNA(KIST Talk, 2017.7.10.), 추영국교수(원광대) 검토(2020.5.11.)

 

 

 

 2. 왜 주목받고 있나?

ㅇ 최근 액체생검(Liquid biopsy)분야에서 기존 조직생체검사(Standard biopsy)의 대안으로 주목

액체생검(Liquid biopsy)이란?

피 한방울로 난치병 진단이 가능하다면 얼마나 좋을까?’ 기존 조직생체검사(Standard biopsy)가 암

덩어리의 모든 면을 대변해 줄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면, 새로운 기술인 액체생검은 혈액이나 복수

등 체액에 존재하는 암세포 유래 핵산을 분석하는 비침습적 방법으로 간편하게 체액을 채취하여 암 발생

및 전이 여부를 신속하고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존 조직검사의 대안으로 주목

출처 : 혈액을 떠다니는 DNA(KIST Talk, 2017.7.10.), 추영국교수(원광대) 검토(2020.5.11.)

 

3.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나?

ㅇ cfDNA는 최근 진단마커로서 효용성 면에서 재조명 받고 있으며, 관련 논문의 출판이 지난 수년간 급증

 

- cfDNA 연구주제 관련 일정 주기별 논문 출판 수 변화(PubMed*)

* 미국 국립 의학도서관의 NCBI(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에서 제작하여 무료로 제공하는 의학서지정보 데이터베이스

 

구분

1949~1970

1971~1980

1981~1990

1991~2000

2001~2010

2011~2015

2016~2020

논문 수()

43

123

205

213

327

554

3999

 

1.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