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WHO, 중증 코로나19 환자의 치료에 대한 부신피질호르몬제(덱사메타손, 하이드로코르티손 등 4종) 사용 권고안 발표

  • 등록일2020-09-28
  • 조회수6591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9-28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부신피질호르몬제#스테로이드
  • 첨부파일
    • hwp 20200928_코로나19 모니터링_WHO 스테로이드 사용 가이드라인 발... (다운로드 32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WHO, 중증 코로나19 환자의 치료에 대한 부신피질호르몬제(덱사메타손, 하이드로코르티손 등 4종) 사용 권고안 발표

 

 

※ WHO 가이드라인(’20.9.2., https://www.who.int/publications/i/item/WHO-2019-nCoV-Corticosteroids-2020.1)

 

ㅇ 세계보건기구(WHO)는 중증의 코로나19 환자 예후 개선을 위해 덱사메타손 등 4종의 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 부신피질호르몬제) 사용 및 용법 등에 대한 권고안*을 발표   

* Corticosteroids for COVID-19 : Living Guidance(’20.9) 

- 전신 스테로이드는 중증 코로나19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하는 과잉 면역반응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관리가 쉽고 전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저렴하다는 장점  

- 동 가이드라인은 중증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권고로서, 최근 스테로이드 사용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참고 및 반영하였으며, 경증 및 중등단계 환자에게는 스테로이드 사용을 추천하지 않음 

* 코로나19 중증 이상 환자의 사망률 감소(6.7∼8.7% 감소) 및 생존 개선 관찰 등

 

구분

내용

WHO 권장안 1

(Recommendation 1)

WHO는 코로나19로 인한 중증환자(severe)또는 치명적인(critical)중환자에게 전신 스테로이드 사용을 추천함

WHO 권장안 2

(Recommendation 2)

WHO심각하지 않은코로나19 환자(non-severe)에 대해서는 스테로이드 사용을 제안하지 않음

 

    

<질병 심각도 분류>

구분

내용

치명적 상태

Critical COVID-19

-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기준에 의해 정의되며, 패혈증, 패혈성 쇼크 또는 생명유지장치(기계적 공기환기, 혈관압박 등) 제공이 필요한 조건

중증단계

Severe COVID-19

- 다음 중 하나에 해당

· 실내 공기상태에서 산소포화도 90% 미만

· 분당 호흡 수 30회 이상(성인 및 5세 이상 어린이)/ 60회 이상 (2개월 미만 영유아)/ 50회 이상(211개월 영유아)/ 40회 이상(15)

· 중증 호흡곤란 징후(: 보조근육사용, 완전한 문장 구사 불가, 심각한 흉벽의 움추림, 찡그림, 중앙 정책증, 또는 이외 위험 징후)

심각하지 않은

Non-Severe

치명적으로 심각하거나 중증 징후가 없는 상태

 

ㅇ WHO의 동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스테로이드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프레드니손(prednisone), 메틸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 4종이며, 경구 또는 정맥 주입 방식으로 투여되고 실용적 사용량은 아래와 같음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WHO 권고 스테로이드 약물 및 용량>

약물 구분

용법 및 용량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 6mg /1

- 투약기간 710

하이드로코티손

(hydrocortisone)

- 150mg /1(사용예 : 8시간 50mg)

- 투약기간 710

프레드니손

(prednisone)

- 40mg /1

- 투약기간 710

메틸프레드니솔론

(methylprednisolone)

- 32mg /1(사용예 : 6시간 8mg 또는 매 12시간 16mg))

- 투약기간 710



ㅇ WHO는 스테로이드 사용에 대한 현재의 불확실성과 기회요소에 관한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 

- 코로나19 생존환자에서 전신 스테로이드 사용에 의한 장기적 영향(사망률, 기능적 결과) 효과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며, 추가적인 연구 필요

- 중증이 아닌 코로나19 환자(저산소 혈증이 없는 폐렴 등)에서 전신 스테로이드 임상효과는 아직 불명확하며, 추가적인 연구 필요 

- 다른 약물들(새로운 면역 조절제 등)을 사용하는 요법들이 계속 등장함에 따라, 스테로이드 사용 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 

- 이외, 스테로이드 사용이 면역 및 후속 감염에 미치는 영향, 스테로이드 용량 및 투약의 최적 시기 등에 대한 불확실성 존재 등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