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미세플라스틱의 현황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 등록일2020-10-12
- 조회수9263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10-06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미세플라스틱#생태계
- 첨부파일
[BRIC View 동향리포트]
미세플라스틱의 현황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임동권 (고려대학교, KU-KIST융합대학원)
요약문
미세플라스틱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환경 생태분야 연구자와 국가기관에서의 다양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동향 보고서는미세플라스틱에 관한 현황과 최신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 기존 연구 결과에 대한 이해와 함께한계점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동향 보고서는 국내외에 발표된 보고서와 논문들을조사하여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가급적 최근 3년(2018년-2020년) 이내의 최신 논문 위주로소개하고자 하였다. 먼저 플라스틱의 형태적 분류와 이에 따른 분포 현황, 성분 분석 방법에대한 이해가 필요하여 이를 소개하였고, 나아가 미세플라스틱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물리적,화학적 영향, 생물 농축 가능성, 독성 영향과 함께 궁극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자료를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미세플라스틱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이해하기위해서는 정교하게 설계된 장기간의 연구를 통해서 결론을 내려야 하는 분야이지만, 아직연구 활동 기간이 길지 않고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과학적 기반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미세플라스틱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동향 보고서는 미세플라스틱에 최신 연구 동향을 체계적,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소개하고자하였기 때문에, 미세플라스틱에 관심 있는 연구자들이 현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기대된다.
Key Words: Microplastic, Marine environment, Identification of polymers, Ingestion of microplastic, Plastic pollution.
1. 서론
플라스틱(Plastic)의 어원은 그리스어 ‘플라스티코스(plastikos)’에서 유래한 것으로, “조형이가능한”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1]. 인류가 오랫동안 사용해 왔던 돌, 금속, 나무 등에 비해 매우뛰어난 가공성과 생산비용이 낮기 때문에 산업적 활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저렴한 가격과 뛰어난가공성과 함께 우수한 구조적 강도, 내구성, 단열성, 화학적 안정성, 탄성 등의 장점으로 우리 일상의전 분야 포장재(packaging), 교통(transportation), 건축 및 건설(building and construction),전자전기(electric/ electronic), 산업용 기계(industrial machinery), 의류(textile) 등에서 광범위하게활용되고 있다.
1950년부터 2015년까지 65년간 플라스틱의 생산량은 약 83억 톤으로 추정되며, 폐기량은63억 톤에 달하며, 이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50년까지 플라스틱 쓰레기가 총 누적 330억 톤에 달할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해양에 유입되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년간 8762톤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속도라면 2050년에는 바다에 물고기보다 플라스틱이 더 많아질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있다 [2].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관심은 Carpenter가 1972년에 Science 발표한 2편의 논문을 발표한이후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였으며 [3, 4], 2004년에 Thomson 등이 Science 지에 해양 환경에서현미경으로 관찰 가능한 플라스틱 조각이 증가함을 보고한 바 있다 [5]. 이는 “미세플라스틱” 에대한 관심이 촉진되는 계기가 되었다. 미세플라스틱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조금씩진행되어 오다가, 2017년 이후에 연구 활동 및 사회적인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현황이다[6](그림 1).
그림 1. 년도별 미세플라스틱 관련 발표 논문수.
(검색엔진; Web of science, 검색년도; 1970-2020. 현재, 검색어; Microplastics)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