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마스크 착용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들

  • 등록일2020-10-27
  • 조회수5481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10-27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마스크#착용 효과
  • 첨부파일
    • hwp 20201027 코로나19 모니터링_마스크 착용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들... (다운로드 80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마스크 착용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들

- 코로나19 감염, 증세, 사망자 모두 줄여 -

 

 ※ Nature, Face masks: what the data say, 2020.10.6,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0-02801-8
※ 조선일보, 2020.10.14., 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0/10/14/CS57BGA7QRFGPMZ347MKDKR7GM/

 
ㅇ 마스크 착용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다양한 방법으로 생명을 구하고 있다고 지지하는 반면, 마스크 착용 효과에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
   - 이러한 논란 속에서 최근 Nature는 마스크의 코로나19 바이러스 차단효과에 대한 과학적 연구결과를 집중 분석
   - 다양한 연구에서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과 함께 다른 사람에 대한 전파를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
   - 또한 일부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환자도 마스크를 썼다면 중증 증세가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
 
 ㅇ (사망자 감소) 정부의 마스크 착용 권고 또는 의무화를 통해 사망률 감소
   - 미국과 캐나다, 폴란드 공동연구진은 정부가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거나 의무화한 곳은 다른 곳보다 치명률이 4분의 1로 줄었다고 밝힘(200개국 대상으로 조사)

※ 관련논문: medRxiv, Association of country-wide coronavirus mortality with demographics, testing, lockdowns, and public wearing of masks, 2020.8.5.
   - 미국 아이오와대 연구진은 뉴욕주 등에서 4월부터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면서 매일 코로나 확진자 증가세를 2%씩 억제했고, 마스크 의무 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 대책으로 확진자 45만 명이 감소했다고 추정
※ 관련논문: HealthAffairs, Community Use Of Face Masks And COVID-19: Evidence From A Natural Experiment Of State Mandates In The US, 2020.6.16
 

 ㅇ (바이러스 차단) 마스크의 바이러스 차단 효과를 실험을 통해 입증
   - 홍콩대 연구진은 햄스터 우리(cage)를 수술용 마스크로 분리하고, 한쪽 햄스터에게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감염시키고, 반대쪽 햄스터를 관찰
   - 연구결과 마스크 장벽이 없으면 반대편 햄스터 중 2/3가 코로나19에 감염된 반면, 마스크로 가리면 25%만 감염
※ 감염된 햄스터도 마스크 장벽이 없는 우리의 햄스터보다 증세보다 덜한 것으로 조사

※ 관련논문: Clinical Infectious Disease, Surgical Mask Partition Reduces the Risk of Noncontact Transmission in a Golden Syrian Hamster Model for Coronavirus Disease 2019, 2020.5.30
 

 ㅇ (에어로졸 차단) 의료용이 아닌 마스크도 에어로졸 차단 효과 제시
   - 미국 버지니아 공대 연구진은 면소재 티셔츠도 에어로졸 흡입을 절반 정도 차단하며, 2 µm 크기의 에어로졸이라면 방출을 80%쯤 막는다고 밝힘
    ※ 4∼5 µm 에어로졸이라면 대부분의 직물이 양방향으로 80% 이상 차단한다고 조사(논문 미발표)
   - 남덴마크대 연구진도 두 겹의 천 마스크가 0.3µm 크기까지 에어로졸을 11~19% 막는다고 제시
   -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과학자들은 면과 실크를 혼용해 만든 마스크는 단일 소재 마스크보다 에어로졸을 더 잘 막는다고 조사
※ 관련논문: ACS Publications, Aerosol Filtration Efficiency of Common Fabrics Used in Respiratory Cloth Masks, 2020.4.24
 
 ㅇ (마스크 임상시험) 남덴마크대 연구진은 서아프리카의 기니비사우에서 4만 명이 참가하는 마스크 효능 임상시험을 진행
   - 50%만 마스크 착용 수개월 뒤, 코로나19 확진자 비율을 비교하는 방식
    ※ 임상시험 참가자 모집은 11월까지 진행. 남덴마크대의 크리스틴 벤 박사는 “마스크 미착용자들도 코로나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 더 위험에 빠지게 하지는 않는다”며 “임상시험 결과는 마스크를 둘러싼 과학 논쟁에 중요 정보가 될 것”이라고 인터뷰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