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스마트 헬스케어 (2020-13)
- 등록일2020-11-03
- 조회수5609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10-27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스마트#헬스케어
- 첨부파일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스마트 헬스케어
한지아ㆍ김은정
[Contents]
제1장 개요
제2장 기술동향
제3장 산업동향
제4장 정책동향
제5장 R&D 투자동향
제6장 결론
1.1. 작성 배경
□ 국내 인구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의료비 부담과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과 수요에 따라 사전적 예방, 건강관리에 관한 산업이 부상하고 있음
ㅇ 지난 10년간 OECD 주요국 중 의료비 부담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고령화로 인한만성질환자 진료비가 사회・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음
*만성질환자 진료비 비중(건강보험): 26.8%(’03) →32.9%(’07)→ 41.0%(’17)
ㅇ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건강, 삶의 질 향상에 관심이 커지면서 헬스케어 패러다임은 이미 치료중심에서 4P(Preventive: 예방, Predictive: 예측 Personalized: 개인맞춤, Participatory: 참여)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흐름임
□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고 디지털・비대면으로의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기대가 확대되고 있음
ㅇ 정부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가 대응 전략으로 디지털 기반의 비대면 산업, 의약・바이오산업 등 유망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계획*
*출처 : 2021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 수정(안)(과기정통부,’20.05)
ㅇ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대면을 줄이는 원격의료, 챗봇, 인공지능 스피커 등 IoT를 활용한 건강관리서비스 등 비대면 건강관리에 대한 수요가 확대될 것임
□ 본 고에서는 국내외 스마트 헬스케어의 기술・산업・정책 동향에 대한 조사・분석 및진단을 통해 정책적 지원사항과 정부R&D의 향후 투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