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노화방지 약물이 노년층의 코로나19 백신 효과를 증대
- 등록일2020-11-03
- 조회수5412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11-03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노화방지#약물#노년층#코로나
- 첨부파일
노화방지 약물이 노년층의 코로나19 백신 효과를 증대
※ Nature, NEWS FEATURE, How anti-ageing drugs could boost COVID vaccines in older people, 2020.10.14.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0-02856-7)
ㅇ 노화된 면역체계일수록 질병 감염이 쉽고 백신에 대한 반응이 저하
- 美 FDA, 코로나19 백신이 접종자 절반 이상을 보호해야 효과가 있지만, 노년층은 그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음을 발표(’20.6)
< 젊은층과 노년층의 면역시스템 비교 >
출처 : Nature, How anti-ageing drugs could boost COVID vaccines in older people, 2020.10.14. (정책센터 재가공)
-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임상시험에 노년층 참가가 제한적이어서, 백신 효과가 젊은층 뿐만 아니라 노년층에도 효과적으로 작용되는지 불명확
※ 대부분의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에서 나이를 제한하거나, 기저질환이 있을 경우 제외하는 등 노년층을 배제하는 경우가 많음
ㅇ 노년층에서 백신 효과 저하 시, 면역활성 강화제나 고용량의 백신 주입이 가능하나, 노화된 면역기능을 향상시키는 약물을 개발하는 것이 노년 층을 위한 백신 제조보다 근본적인 전략으로 평가
- 개별 백신은 특정 항원만 표적으로 삼지만, 면역강화 관련약물은 모든 백신의 체내 효능을 증가시켜 다양한 병원체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것으로 기대
ㅇ 이에 많은 연구자들이 노화된 면역체계를 젊어지게 하는 방법을 연구
- (mTOR 억제제) mTOR* 단백질을 억제하며 세포 성장, 단백질 생합성 등과 관련된 경로에 작용하는 항노화약물
* mTOR(mammalian target of rapamycin)는 세포의 단백질 동화작용을 활성화하여 성장 신호를 보내는 효소로, mTOR를 억제하면 초파리에서 마우스까지 수명이 연장된다고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음
* mTOR(mammalian target of rapamycin)는 세포의 단백질 동화작용을 활성화하여 성장 신호를 보내는 효소로, mTOR를 억제하면 초파리에서 마우스까지 수명이 연장된다고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음
- mTOR 억제제를 투여 받은 참가자는 질병 감염 정도가 낮고, 위약 그룹보다 빠르게 회복
※ 264명 참가자에 6주 동안 저용량 mTOR 억제제와 위약을 투여한 결과, 1년 동안 질병 감염의 횟수가 적고, 독감 백신의 반응성이 개선됨을 확인
관련 논문 : Sci Transl Med., mTOR inhibition improves immune function in the elderly, 2014.12.24.
※ 노년층의 코로나19 심각성 감소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요양원 거주자 550명 대상으로 임상시험이 진행 중
- (제2형 당뇨병 치료제) 당뇨병, 비만과 같은 질병이 노년층의 면역결핍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 당뇨병 치료제 메트포르민(metformin)은 간접적이지만 mTOR 활동 약화시킴
※ 메트포르민을 복용한 사람은 코로나19에 걸려도 입원하거나 사망할 가능성이 낮음
관련 논문 : medRxiv, Observational Study of Metformin and Risk of Mortality in Patients Hospitalized with Covid-19, 2020.6.28
- (근이영양증 치료제) 현재 개발 중인 항염증제 로스마피모드(losmapimod)가 노년층의 면역개선에 도움
※ 노년층 피부에 수두 바이러스 주입 후 로스마피모드를 투여한 결과, 염증이 약 70% 감소되는 등 면역반응이 개선
관련 논문 : J. Allergy Clin Immunol., Enhancement of cutaneous immunity during aging by blocking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induced inflammation, 2018.9.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