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KEIT PD 이슈리포트 2020-10월호 : 포커싱이슈1(잔존 혈액암세포 검사용 혈구 분석시스템 개발)
- 등록일2020-11-16
- 조회수4762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11-16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혈액암#세포#혈구
- 첨부파일
[KEIT PD Issue Report]
잔존 혈액암세포 검사용 혈구 분석시스템 개발
□ 기획의도
▷ 전 세계적으로 백혈병 환자는 10만명당 2~3명이 발생하고 있으며, 남녀비율이 1.5:1로 나이가 많을수록 발생 비율이 높아져 65세 이상에서는 10만명당 12명 정도로 발생하고 있음
[그림 1] 전 세계 백혈병 환자의 발생건수의 변화
▷ CD 마커를 이용한 말초혈액의 백혈구 표지자 검사는 장기이식 등을 포함한 각종 임상 상태의 진단 및 예후인자로서, 백혈병, 림프종의 진단, 면역결핍 질환의 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음
▷ 예를 들어 CD34는 CD34는 조혈모세포의 마커로서 정상인의 말초혈액에서 0~1% 정도 존재하나 급성 골수성백혈병에서는 40~60%, 소아 B-세포계열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70% 이상, T-세포계열 급성 림프구성백혈병에서는 0~46% 정도 존재함. 특히 백혈병 환자의 조혈모세포 제거 후 새로운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는 것은 중요한 백혈병 치료법 중 하나임
▷ 다른 예로서 CD34는 림프구의 한 종류의 T cell의 마커이며, T cell은 백혈병 세포 등의 비 정상세포를 공격하기때문에 면역체계의 중요 지표 중 하나임
▷ 이러한 검사를 통해 백혈구의 비정상적인 수치 변화를 감지하여 환자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병원의 필수적인검사방법으로 유세포 분석기가 사용됨. 유세포 측정 시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세포가 섞여서 들어오게 되는 데이들을 스캔하여 임상적으로 세포들의 정보만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함
① 임상 유세포 분석기(clinical flow cytometer)
▷ 유세포 분석기는 현미경과 더불어 병원에서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장비로서 혈액 세포를 목적에 맞게 형광염색하고 가는 관으로 흘려주면서 개별 세포의 크기, 형태, 형광 세기 등의 정보를 획득하고 분석함
▷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의 개수를 측정하는 혈액검사기(hematology analyzer)도 유세포 분석기의 범주에들어가지만, 두 장비는 병원에서 사용하는 목적과 활용이 다르므로 별도의 장비로 취급함
▷ 유세포 분석기의 임상적 활용으로 림프구 아형검사(lymphocyte immunophenotyping), 백혈병 아형검사(leukemia immunophenotyping), 세포 주기검사(cell cycle analysis) 등이 있는데 이 중 림프구 아형검사와백혈구 아형검사는 백혈구에 CD 마커를 염색하고 염색된 CD 마커의 개수를 측정하는 분석방법을 사용하는방식임
[그림 2] 사이토메트리 실험 방법, 출처: Nat. Rev. Immunol. 2012; 12:191
▷ 다만, 유세포분석기는 타 장비에 비해 신속하게 대량의 세포를 카운팅하는 장점이 있지만, 샘플 처리를 제외한과정들이 실험자의 기술에 의존하는 경향성이 매우 큼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
발간물
- 이슈 보고서 2020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9화 “무세포 합성생물학”편 2021-01-28
- 이슈 보고서 2020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4화 “조직내 노화세포 제거 기술” 편 2020-10-30
- 이슈 보고서 2020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3화 “공간 오믹스 기반 단일세포 분석기술” 편 2020-10-08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6화 “암 오가노이드 연계 면역세포 치료기술” 편 2019-07-29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3화 “자기조직화 다세포 구조” 편 2019-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