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신종환경유해물질_에너지환경·융합복합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5) [R&D Brief 2020-26]

  • 등록일2020-11-17
  • 조회수4467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생명과학
  • 자료발간일
    2020-11-17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환경#융합#연구#유해물질
  • 첨부파일

 

[NRF R&D Brief]

 

신종환경유해물질_에너지환경·융합복합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5)

 


1. 신종환경유해물질(ECs, Emerging Contaminants)
 ㅇ 새로운 화학물질의 개발·이용과 분석기술의 발달로 근래에 들어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는 오염물질로 노출되는 경우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에 유해성 또는 위해성 유해성과 위해성의 차이
☞ 유해성(Hazard) : 화학물질의 독성 등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에 좋지 아니한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 고유의 성질
☞ 위해성(Risk) : 유해한 화학물질이 노출되는 경우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정도
즉, 위해성은 유해성의 크기에 노출량을 감안하여 평가(출처 : 화학물질관리법)
이 있거나 그러할 우려가 있는 물질

 

2. 왜 주목받고 있나?
 ㅇ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각종 산업분야에서 새로운 화학물질이 등장하면서 잠재적인 오염물질이 되어 주목받게 됨.

 

 

☞ 2004년 기준 2천 3백만 종의 유무기화학물 등록이중 1/3가량이 상업적으로 이용

☞ 미국에서만 매년 700개의 새로운 화학물질이 유통되고 있고 잠재적인 새로운 오염물질 증가

☞ 또한 분석기술이 발달하면서 근래에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음.

☞ 신규환경유해물질의 독성 및 위해성 정보가 불충분하여 규제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쉽지 않음.

☞ 미세플라스틱이 근래 새로운 이슈로 조명되고 있음.

※ 출처 : Schwarzenbach, R.P. et al.(2006) The challenge of micropollutants in aquatic systems. Science 313, 10721077


 

 

3.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나?
 ㅇ 신종환경유해물질(ECs) 관련 논문은 1974년 처음 발표되어 관련 분야의 연구가 조금씩 증가하여, 2010년 이후에 그 출판 빈도가 급증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상황


 - 미량오염물질, 신규오염물질, 미세플라스틱 관련 논문 출판수 변화
   ※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의 NCBI(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에서 제작하여 무료로 제공하는 의학서지정보 데이터베이스

 

구분

19711980

19811990

19912000

20012010

20112015

20162020

미량오염물질

1

1

7

79

177

432

신규오염물질

0

0

0

17

68

306

미세플라스틱

0

0

0

9

133

1,679



1.png

 

 

4. 최근 국내·외 연구 동향은? 

ㅇ (중국) 말미잘에서 영감 받은 나노응집제 개발(사이언스타임스, 2018.11.30.)

중국 북경대 연구팀이 정수할 물에 넣어주기만 하면 오염물질을 빨아들여 함께 덩어리를이루는해양생물 말미잘에서 영감을 얻은 나노응집제를 개발

※ 응집제정수 과정에서 넣어주는 물질로물속의 오염물질을 포획해 덩어리로 가라앉히는 물질

평소에는 촉수를 몸통 속으로 오므리고 있다가 순간 바깥쪽으로 확 뒤집으며 뻗어 주변의먹이를 붙잡는 말미잘이 먹이를 포획하는 장면에서 영감을 얻음.

연구자들은 이처럼 순식간에 뒤집기를 할 수 있는 나노물질을 설계함즉 긴 사슬 모양의분자의 한쪽 끝은 소수성(물을 싫어하는 성질)인 탄화수소로다른 쪽 끝은 암모늄과 실리콘-알루미늄 산화물의 염 형태로만듦.

구자들이 AMC(액티니아 유사 마이셀 나노응집제)와 기존 정수 과정에서 쓰이고 있는 세 가지 응집제를대상으로 정수 능력을 비교한 결과 AMC가 훨씬 뛰어나다는 사실이 밝혀짐.

기존 응집제들은 오염물질의 유형에 따라 제거 능력이 들쑥날쑥한 반면 연구진이 개발한응집제는 대부분 90% 이상 제거

나노기술 전문 저널 ‘Nature Nanotechnology’에 논문 게재(2018.11.26.)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