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강력한 중화항체를 생산하는 ‘나노입자’ 백신 개발
- 등록일2020-11-27
- 조회수6511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11-27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중화항체#나노입자#백신
- 첨부파일
강력한 중화항체를 생산하는 ‘나노입자’ 백신 개발
※ Cell(’20.10.31)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92867420314501?via%3Dihub
사이언스타임즈(‘20.11.4) 강력한 ‘나노입자’ 백신이 개발되고 있다
ㅇ (개요) 미국 워싱턴 대학 연구진,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구조를 모방하는 미세한 공 모양의 ‘나노입자’를 설계, 강력한 중화항체 반응을 유도
※ 관련논문 : Cell, Elicitation of Potent Neutralizing Antibody Responses by Designed Protein Nanoparticle Vaccines for SARS-CoV-2, 2020.10.31
- 코로나19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도메인(RBD, Recepor Binding Domain) 60개를 표면에 노출시키는 '나노입자 백신(nanoparticle vaccine)'을 제작
- '나노입자' 백신은 마우스에서 코로나19에서 회복된 사람들이 생산한 것과 비슷하거나 더 높은 수준의 중화항체를 생산한다는 사실을 발견
ㅇ (특징) ‘나노입자’ 백신이 동물실험을 통해 5배 낮은 용량에도 불구하고 10배 높은 중화항체 역가를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
- 또한 나노입자 백신은 자가조립(self-assembly)*이 가능하여 높은 수율과 안정성으로 백신 생산에 긍정적인 요소임을 시사
*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의 경우 스스로 조립해 다양한 구조를 만들면서 단백질의 역할을 수행
ㅇ (기대효과) 연구진은 강력한 항원 디스플레이 플랫폼의 유용성을 강조하고 ‘나노입자’ 백신 임상시험을 위해 cGMP 제조하려는 노력에 착수
- 연구를 주도한 워싱턴대 의대 Alexandra Walls 교수는 “생산과정이 간편한 데다 소량으로도 백신 효능이 가능하고, 냉동 상태가 아니더라도 보관이 가능하다”라고 설명
※ 상기 후보백신은 2개 제약사로 기술이전되어 임상시험을 준비 중이며, 2개 제약사 중 하나인 미국의 ‘Icosavax’사는 미국 FDA 기준에 따라 임상시험을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
(주요 내용) 코로나19에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나노입자’ 기반의 백신 개발
ㅇ 2가지 성분의 ‘나노입자’ 플랫폼으로 코로나19 백신의 신속한 생성 가능 ㅇ RBD-nanoparticle 백신은 동물실험에서 강력한 중화항체 반응 유도 확인 ㅇ ‘나노입자’ 백신은 자가조립(self-assembly)*이 가능하여 높은 수율과 안정성으로 백신 생산에 긍정적인 요소 ㅇ ‘나노입자’ 백신 후보물질, 임상시험을 위해 본격 생산(cGMP) 착수
< SARS-CoV-2 스파이크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과 나노입자 백신 작용 기전 > 출처 : Cell, Elicitation of Potent Neutralizing Antibody Responses by Designed Protein Nanoparticle Vaccines for SARS-CoV-2, 2020.10.31 |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