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319]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미래유망기술 후보군
- 등록일2020-12-09
- 조회수4971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12-09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헬스 산업#미래유망기술 후보군
- 첨부파일
[보건산업브리프 Vol.319]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미래유망기술 후보군
의료혁신R&D단 하승희, 김현우, 손인섭
Ⅰ 개요
◎ 바이오헬스 산업은 전 세계적인 인구 고령화와 건강수요 증가에 따라 미래 성장가능성이 높은 차세대 주력 신산업
◎ 성장률(~’30) 전망(%) : 바이오헬스 4.0 〉 조선 2.9 〉 자동차 1.5%(’19.5.,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
-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한 상황으로, 우리나라도 정부차원의 전략적 투자 강화 추진, 특히 연구개발 혁신에 초점
◎ 차세대 신산업(시스템반도체, 미래차, 바이오헬스) 발표(’19.5.,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과 ICBM* 기반의 데이터 활용기술의 발전은 산업 가치사슬 전반의 변화(비용절감, 고부가가치 등) 초래
◎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등 데이터·네트워크 활용 디지털 기술군
- 바이오헬스 분야* 또한 이전까지의 의료제품, 의료서비스 구분에서 나아가 양자가 융합된 새로운 차원의 치료개념 등장으로 혁신 주도
◎ 바이오 빅데이터, 인공지능, 정밀의료, 재생의료 등
- 이러한 패러다임 변화에 발맞춰 의료현장의 연구개발(R&D) 방식도 다학제, 산·학·연·병의 융합형 체계로 급속히 변화하는 중
본 고는 국내외 기관별로 발표한 미래유망기술을 살펴보고, 보건의료 분야 10대 미래유망기술 도출 및 신규 R&D지원 강점 분야를 모색하고자 함
<미래유망기술 정의>
생명현상 연구(생명과학)를 기반으로 향후 5~10년 이내에 기술적 또는 산업적 실현이 가능하고, 향후 기술적, 산업적 파급효과가 높게 전망되는 기술 (바이오) 생명현상 연구를 기반으로 과학적 지식의 발견을 촉진, 문제해결 또는 유용제품 생산에 활용할 수 있고, (미래) 향후 5~10년 이내에 기술적 또는 산업적 실현이 가능하고, (유망기술) 기술적 혁신성 및 산업적 혁신성에 대한 파급효과가 높게 예측되는 기술 |
* 출처: 2020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발굴(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2.)
Ⅱ 기술 후보군 설정
◎ 바이오헬스산업 관련 다양한 분야의 산·학·연·병* 전문가 의견(델파이 조사)을 수렴하여 4단계에 걸쳐 진행
* 산·학·연·병 : 산업계, 학계, 연구계, 병원 소속의 전문가 그룹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