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2018-2019절기 국내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시 결과
- 등록일2020-12-22
- 조회수4541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12-05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키워드
#인플루엔자#인플루엔자바이러스#감시 결과
- 첨부파일
2018-2019절기 국내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시 결과
들어가는 말
질병관리본부는 인플루엔자 임상표본감시를 통하여 17개 시·도의 200개 참여병원으로부터 인플루엔자 의심(Influenza-like Illness, ILI)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그 중 52개 참여병원은 인플루엔자 및 호흡기바이러스 감염증 병원체 감시(Ko reaInfluenza and Respiratory Viruses Surveillance System. KINRESS)에 참여하여 ILI 환자로부터 상부호흡기도 검체(Nasal or throat swab)를 매주 8건씩 채취하고 있다.
17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은 검체를 이용하여 인플루엔자 및 호흡기바이러스 7종(호흡기상피세포융합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메타뉴모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및 보카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자 검출검사(Real-time RT-PCR)를 수행하며 질병관리본부 바이러스분석과는 유전자 검출검사 결과를 취합하고 분석하여 매주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다.
바이러스분석과는 국립인플루엔자센터(National Influenza Center, NIC)로써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운영하는 세계 인플루엔자 감시 및 대응 체계(Global Influenza Surveillance and Response System, GISRS) 참여의 일환으로 유전자 검출검사 결과를 WHO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시 데이터베이스인 FluNet(https://www.who.int/influenza/gisrs_laboratory/flunet/en/)에 입력하고 국내 분리주를 WHO 인플루엔자협력센터(Influenza Collaborating Center)에 공유함으로써 인플루엔자 유행 및 대유행 대비와 백신주 선정에 기여하고 있다.
본 원고를 통하여 2018-2019절기 국내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검출양상의 특징과 분리된 바이러스의 유전형, 항원형 및 치료제 내성 분석 결과를 공유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