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국내·외 코로나19 백신개발 현황
- 등록일2020-12-24
- 조회수5540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12-15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백신#백신개발#코로나19#코로나#코로나 백신
- 첨부파일
국내·외 코로나19 백신개발 현황
※ 뉴스1(’20.12.9) https://www.news1.kr/articles/?4145075
※ 중앙일보(’20.12.8) https://news.joins.com/article/23940246 외 다수
글로벌 백신 개발 현황
ㅇ 현재 전 세계 약 214개의 백신 후보물질이 개발 중이며, 임상시험에 진입한 백신 후보는 총 51개(WHO, ’20.12.2 기준)
- 총 214개 중 전임상 단계 후보물질 163개, 임상 단계 후보물질 51개로, 이 중 13개가 임상 3상 시험 진행 중
※ 임상 3상 진행 개발사(13개사) : [미국] 모더나, 화이자, 존슨앤존슨(얀센), 노바백스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중국] 시노팜(우한, 베이징), 시노백, 칸시노, 안후이, [러시아] 가말레야연구소, [인도] 바라트 바이오테크 [캐나다] 메디카고
ㅇ 임상 3상을 진행 중인 백신개발 선두기업을 중심으로 긴급사용승인 진행 중
< 모더나, 94.1% 예방효과 및 백신 효능 3개월 간 유지 >
ㅇ (개발) mRNA 기반 백신(mRNA-1273)의 임상 3상 중간 결과(94.5%, 11.16) 발표에 이어, 임상시험 최종결과로 94.1% 예방 및 100% 중증 질환 예방 효과를 발표했으며, 백신 효능은 3개월 간 지속
- 미국식품의약국(FDA)와 유럽의약품청(EMA)에 긴급사용승인 신청(11.30), FDA의 긴급사용승인 심사 예정(12.17)이며 승인 후 바로 배포 예정
ㅇ (생산) ’20년 2천만 도즈, ’21년 5∼10억 도즈 생산 계획
ㅇ (공급) 2회 접종, 1회 공급가격은 약 15∼25달러(약 16,500∼27,500원)
ㅇ (유통) –20℃에서 최대 5개월, 2∼8℃에서 최대 30일까지 보관 가능
ㅇ (향후계획) 청소년 대상(12∼17세)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계획 발표(12.2)
< 화이자, 95% 높은 예방효과, 하지만 –70℃ 초저온 유통과 보관 한계 >
ㅇ (개발) 독일 바이오엔테크와 공동 개발한 mRNA 백신(BNT162b2) 임상 3상 중간결과(90%, 11.9) 발표에 이어, 임상시험 최종결과 95% 효능 발표(11.18)
- 영국, 화이자 백신을 코로나19 백신 세계 최초로 허가 승인(12.2)했으며, 영국 내 접종 시작(12.8)
- 미국 FDA에 긴급사용승인 신청(11.20) 및 FDA 자문기구의 긴급사용승인 권고(12.10) 후 2일만에 최종 승인(12.12)
ㅇ (생산) 올해 안에 최대 5천만 도즈, 내년까지 13억 도즈 생산 계획
ㅇ (공급) 2회 접종, 1회 접종 공급가격은 약 19.5달러(약 22,000원)
ㅇ (유통) –70℃ 에서 최장 6개월, 2∼8℃ 냉장 보관 상태에서는 최대 5일 간 효능 유지로, 유통과 보관 측면에서 한계
< 아스트라제네카, 복용량에 따른 예방효과 평균 70.4% >
ㅇ (개발) 영국 옥스퍼드대와 공동 개발한 아데노 바이러스벡터 기반 백신(AZD1222)은 임상시험 대상자 중 기본 복용량을 투여한 집단에서 62%의 효과를 보였지만, 착오로 기본 복용량의 절반을 접종한 집단에서 90% 효과가 나타나, 투약 방식에 따른 두 집단 간 큰 결과 차이로 논란
- 이에 저용량 투약 방식에 대한 추가 임상시험이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의학전문지 란셋(The Lancet)에 임상3상 중간 분석결과 70% 효능 발표(12.8)
※ 뒤늦은 저용량 투약 방식 공개 및 임상시험 절차 중간 변경(임상 참가자 중 일부 1차 투여 후 2차 투여까지 3개월 이상 소요) 등으로 FDA 승인 지연 예상
ㅇ (생산) ’21년 30억 도즈 생산을 계획하고 있으며, CMO 협약 체결한 SK바이오사이언스가 이미 국내에서 위탁 생산 시작
ㅇ (공급) 2회 접종, 1회 공급가격은 약 3∼5달러(약 3,000∼5,500원)로 가격 면에서 가장 높은 경쟁력
ㅇ (유통) 2∼8℃ 냉장 보관 상태에서 최대 6개월 보관 가능, 유통과 보관 측면에서 경쟁력 확보
< 존슨앤존슨, 타 사와 달리 1회 접종으로 백신 공급 및 접종 간소화 기대 >
ㅇ (개발) 아데노 바이러스벡터 기반 백신(Ad26.COV2-S)으로, 전 세계 180여 곳 6만 명을 대상으로 임상 3상 진행 중, 참가자 1명 부작용 발생으로 임상시험 중단(10.12) 후 브라질을 시작으로 임상시험 재개(11.3)
ㅇ (생산) ’21년 최대 10억 도즈 생산 계획
ㅇ (접종) 2회 접종이 필요한 타사와 달리 1회 접종만으로 예방 효과 나타나, 백신 공급과 접종의 간소화 및 편의성 기대
- 1회 공급가격은 약 10달러(약 11,000원)로 책정
※ 전 세계 3만 명을 대상으로 2회 접종 시 효능이 증대되는지 그 여부를 확인하는 3상 시험 진행 중(11.16)
ㅇ (유통) 2∼8℃ 냉장보관 상태로 유통 가능, 유통과 보관 측면에서 경쟁력 확보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