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코로나19 바이러스 기원에 관하여

  • 등록일2020-12-29
  • 조회수4465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12-24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기원#캄보디아#일본#관박쥐
  • 첨부파일
    • hwp 20201224_코로나19 모니터링_코로나19 바이러스 기원에 관하여_... (다운로드 129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코로나19 바이러스 기원에 관하여

- 캄보디아와 일본서 코로나19 유사 바이러스 발견 -

 

 

 ※ 동아사이언스, ’20.11.24.,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41338
 ※ Nature, ’20.11.23.,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0-03217-0
 ※ BBC, ’20.12.17., 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55344122

ㅇ 아시아 소재 2개(캄보디아, 일본)의 실험실 냉동고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유사한 바이러스가 발견
- 캄보디아 연구진은 냉동고에 보관된 관박쥐 샘플과 일본 연구진은 냉동 관박쥐 배설물에서 코로나바이러스와 밀접한 바이러스를 찾았다고 보고
 관련뉴스 : Nature, Coronaviruses closely related to the pandemic virus discovered in Japan and Cambodia, 2020.11.23.
-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유사한 바이러스가 중국 외 지역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

 ㅇ (캄보디아 파스퇴르 연구팀) PREDICT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관박쥐(Rhinolophus shameli) 냉동샘플에서 코로나19와 유사한 바이러스 발견
* 미국 국제개발기구(USAID)는 동물 샘플(박쥐, 천산갑 및 기타 동물)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증거를 발견하기 위해 추가로 3백만 달러와 6개월 연장을 발표(2020.4) 
- 2010년 캄보디아 북부에서 잡힌 두 마리의 관박쥐 냉동샘플에서 발견된 바이러스 게놈은 완벽히 해독되지 않은 상태이나, 코로나19 바이러스 및 RaTG-13*과 유사한 것으로 조사
* 현재까지 코로나19와 가장 유사한 바이러스로, 게놈 유사도는 96%이며 세포에 들어갈 때 동일한 수용체를 사용, 관박쥐와 천산갑에서 발견

 ㅇ (일본 연구팀) 2013년 일본에 서식하는 관박쥐 배설물에서 발견된 Rc-o319 바이러스는 염기서열이 코로나19 바이러스와 81% 유사
- 새로운 바이러스가 현재 유행성 바이러스의 직접적인 조상이 되려면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최소한 99% 유사해야함
 관련논문: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t Sarbecovirus Phylogenetically Related to SARS-CoV-2, Japan. 2020.12.2.

ㅇ 이번 발견은 코로나19와 관계있는 친척 바이러스들이 실험실 냉동고에 보관되어 있을 수 있음을 시사
- 새로운 바이러스가 코로나19와 거리가 멀다 하더라도 해당 바이러스 계열의 다양성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전문가들 의견
- 이번 연구는 코로나19와 관박쥐 코로나바이러스가 상당히 유사할 뿐 만 아니라 중국 이외 지역 박쥐에서도 발견될 수 있음을 확인
- 코로나19는 갑자기 나온 새로운 바이러스가 아니며 이 그룹의 바이러스가 2019년 이전에 존재했으며, 관박쥐가 이들의 저장소일 가능성 확인
 관련논문: Nature, A pneumonia outbreak associated with a new coronavirus of probable bat origin. 2020.2.3
 
ㅇ 한편, WHO는 국제 과학자 10명으로 구성된 조사팀이 코로나19 기원을 추적하기 위해 내년 초 중국 우한에 파견될 것이라고 발표(12.16)
- 그동안 중국 당국은 조사를 꺼려왔으나, WHO가 수개월에 걸친 협상을 통해 중국의 동의를 확보 
※ 조사팀은 "책임을 져야 하는 나라를 찾는 게 아니다"라며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파악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에 위험을 줄일 수 있는지 알아보는 일"이라고 조사의 목적에 관해 설명
- 이번 조사는 '바이러스가 원래 박쥐에서 온 것인가?', '박쥐와 인간을 연결하는 "중간 숙주"가 있었나?' 등 생물학적 의문점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