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급성림프구성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emia)의 연구 동향

  • 등록일2021-01-05
  • 조회수6491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1-12-29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급성림프구성백혈병#관해#항암제#면역세포치료제#ALL
  • 첨부파일

 

급성림프구성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emia)의 연구 동향


 

요약문

재발 환자의 생존율이 매우 낮다고 알려진 급성림프구성 백혈병은 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질병 중 하나이다. 다행스럽게도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약물이 연구/ 개발되었으며, 기존의 단점을 개선한 약물들의 개발을 통해 긍정적인 결과들을 점차 보여주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앞으로의 연구는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의 개념 및 현 약물 개발 상황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키워드: 급성림프구성백혈병(ALL), 관해, 항암제, 면역세포치료제
분야: Cancer Biology/Oncology, Immunology, Medicine

목 차
1. 서론
  1.1. 백혈병의 개요
  1.2. 혈액암의 종류 및 구별
2.본론
  2.1. 신약을 이용한 치료방향
    2.1.1. Inotuzumab ozogamicin
    2.1.2. 블린 사이토(Blinatumomab)
    2.1.3.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T, Chimeric antigen receptor-T cell) 치료제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1.1. 백혈병의 개요
백혈병은 우리 몸의 조혈기관인 골수의 정상 혈액세포가 이상 증식을 진행해 암세포로 전환되면서 생기는 질병이다. 원인을 일으키는 백혈병 세포는 무한 증식이 가능하고 정상적인 백혈구, 적혈구 및 혈소판의 생성을 방해해 우리 몸에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우리 몸의 정상적인 백혈구의 수를 감소 시켜 면역기능을 떨어뜨려 감염병 노출에 쉽게 되는 몸 상태를 만드는 치명적인 위험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또한 골수에서 나온 백혈병 세포는 혈액순환을 통해 전신에 퍼질 수 있기 때문에 병세의 진행이 매우 빠른 특징을 보이며 우리 몸의 여러 장기에 전이 될 수 있다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질병이다. 

이러한 백혈병은 급성과 만성 백혈병으로 구별되는데 이는 다시 골수성과 림프구성으로 나뉘어 진다. 대부분 성인에게서 발병하는 급성골수성 백혈병과는 다르게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은 어린아이들에게서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림프구계 백혈구에 암세포 변화가 일어난 경우를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이라 칭하며 이 질병은 특이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에게서 발병 비율이 높고 매우 소수의 환자들에게서만 림프구의 분화 및 증식과 관련된 염색체 이상과 같은 유적적 또는 환경적인 문제로 인한 발생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에서의 발병률은 꾸준히 증가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앞서 언급한 대로 어린 아이들에서의 발병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연령별 발병률은 1-4세 아동에게 가장 높고, 그 다음 어린 시절 5세-14세 동안은 급격하게 떨어진다. 그 후 청소년기 청년기 사이에 최저점을 보이고 있다 [1]. 나타나는 증상은 급속한 피로감, 무기력함 그리고 다리 통증 등으로 특별한 증상이 아니기 때문에 발병 초기에는 일반적인 감기와 구분이 어렵다고 한다. 이러한 백혈병을 치료하기 위해 지난 수년 간 다양한 화학적 요법 및 치료법으로 전체 생존율이 매우 급증하였지만, 노인치료 부분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추가적인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2-5]. 

또한 혈액암의 원인은 환경적 또는 유전적인 원인이나 바이러스 감염 등과 관련이 되었을 것이라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명확한 것은 없으며 그로 인해 발병하는 경우가 매우 적다고 알려져 있다. 이 경우는 암세포가 혈액을 따라 온몸으로 퍼져 나가기 때문에 수술을 통한 완치는 매우 어렵고 보통 약물치료를 중점으로 행해지게 된다. 그 동안의 혈액암의 치료에는 화학 항암제를 이용한 항암화학요법이 각광을 받고 치료법으로 이용되었지만, 최근 여러 연구자들의 노력을 통해 새로운 치료법들이 개발되면서 현재는 표적항암제 및 면역항암제들도 치료 효과 개선 부분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 혈액암의 종류 및 구별
①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
이는 악성으로 변한 골수구계 백혈구가 혈액이나 골수같은 조직에서 증식하는 병으로 성인의 급성 백혈병 비율 중 80% 이상을 차지하는 매우 발병률이 높은 암 중에 하나이다. 이렇게 골수에서 악성 세포가 자라나게 되면 면역 기능 저하 및 다양한 신체적 변화가 나타나게 되며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항암화학 요법을 근간으로 한 치료법을 적용하고 있다.
 
②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이 경우는 악성세포로 변한 B 세포 또는 T 세포 백혈구가 골수나 혈액 쪽에 증식하게 되면서 발병하는 것으로 성인보다는 소아에서의 발병률이 높은 편이다. B 세포 급성림프모구 백혈병/림프종은 상세불명형(유전자 이상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유전자 이상 동반형으로 또 나뉘어 지게 된다. 참고로 골수 침범 시 림프모구가 20% 이상인 경우를 ”백혈병”으로 진단하고, 주로 림프절이나 다른 장기 침범이며 골수 내 림프모구가 20% 이하인 경우 보통 “림프종”이라 칭한다.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역시 항암화학요법을 근간으로 하는 치료법을 시행하고 있다.
 
③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만성 골수성 백혈병은 염색체 9번과 22번의 일부가 바뀌면서 생긴 필라델피아 염색체에 의해 발생하는 골수 증식 종양의 일종으로, 발병을 하게 되면 백혈구 및 혈소판의 수치가 매우 높게 증가하게 된다. 병의 진행 속도는 다른 백혈병 타입들에 비해서는 느린 편이며 만성기의 상태에서 검사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때 환자들은 보통 경구표적치료제를 통한 치료가 행해진다.
 
④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hronic Lymphocytic Leukemia, CLL)
이는 기능 부전성 림프구가 단일 클론성으로 증식하는 백혈병으로 주로 서구 국가들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유형의 백혈병 중 하나이다. 진행은 매우 느린 편이고 근본적인 완치가 어려운 암 중 하나라고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경우 항암 치료 전에 경과를 지켜보는 단계를 거치게 되며 항암치료로 좋지 않은 예후를 보인 경우에는 조혈모세포 이식 등의 치료로도 이어질 수 있다 [6].

 



1.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