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유전자가위등 바이오신기술 적용 산물의 진단 및 검출기술의 국내 구현 가능성 조사
- 등록일2021-03-02
- 조회수4770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자료발간일
2021-02-19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유전자 가위#DNA #바이오#바이오신기술#기술
- 첨부파일
유전자가위등 바이오신기술 적용 산물의 진단 및 검출기술의 국내 구현 가능성 조사
◈개요
ㅇ 2012년 3세대 유전자가위인 CRISPR/Cas9이 개발되어 상용화되면서, 유전자가위 등 유전체편집기술을 이용한 R&D 및 산업적 활용이 크게 확대되고 있음
- 정확성이 높으며 저렴한 SDN(site-directed nucleases)-1, 2, 3 등 유전체편집기술의 등장으로 생명공학 산물의 개발장벽이 크게 낮아지고 있음
ㅇ 세계기구 및 각 국가에서는 유전체편집기술 및 그 산물에 대한 안전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국가별로 그 규제수준의 결정이 다양한 편임
- 유전체편집기술 적용산물의 안전관리는 크게 ① 규제대상 편집수준 기준 설정 및 ② 진단 및 검출기술의 가용성 여부에 따라 그 수준이 결정되는 특성이 있음
ㅇ 따라서 유전체편집기술 적용산물의 국내 안전한 취급 및 관리기준 마련을 위해, 최신 진단(identification1) 및 검출(detection)기술 개발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국내에 적용할수 있을지를 분석하고자 함
◈요약문
1. 연구개발 목표
ㅇ 유전체 편집기술 적용산물의 국내 안전한 취급 및 관리기준 마련을 위해, 최신 진단 및 검출기술 개발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국내에 적용할수 있을지를 분석
2. 연구개발내용
ㅇ 유전자가위(SDN-1,2,3) 등 바이오신기술 관련 국내외 동향 조사 및 분석
- 바이오신기술 이용 생물체의 연구 개발, 실적, 논문 등 국내 동향 분석
※ ScienceDirect 등 학술논문 중심으로 지난 5년간 개발된 유전체편집 관련 기술문헌 조사
※ 프라임편집기술 등 최신 개발된 유전체편집기술 관련 조사 - 바이오신기술 이용 생물체의 On/Off-target mutagenesis 진단 및 검사 기
술 개별 국내외 현황 조사 및 분석
※ A Real-Time Quantitative PCR Method Specific for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the First Commercialized Genome-Edited Plant 등
※ 염기서열 분석 및 T7E1와 결합된 PCR, WGS, WES, Chip-seq, GUIDE-seq, BLESS, IDLVs, LAM-HTGTS, Digenome-seq, CIRCLE-seq,SITE-seq 등 분석 및 정리
ㅇ바이오신기술 진단 및 검사기술의 국내 구현환경 및 가능성 조사 및 분석
- 해외 유전자편집기술 규제시 진단 및 검사기술 활용 관련 현황 조사
※ 유전자편집기술 규제 현황 및 특성 조사
※ 일본의 유전자가위 적용 산물에 대한 사전상담 및 신고 시 제출해야하는 자료인 southern blot, NGS, PCR 자료의 장단점 및 실효성 검증후 우리나라에서 적용할 수 있는 분석법 제시
- 바이오신기술 이용 생물체의 위해성평가를 위한 진단 및 검사 기술의 국내 역량 및 인프라 구축 현황 분석
- 개발자, 위해성평가 연구자 및 위해성심사 담당자 등 의견 조사 및 분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