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다보스 2021 의제와 과학기술의 미래
- 등록일2021-03-03
- 조회수4352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1-02-16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다보스의제워크#미래전망
- 첨부파일
다보스 2021 의제와 과학기술의 미래
가. 저자 : 황인영
나. 요약문 : 2021년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은 지난 1월 26일부터 29일까지 다보스 의제 위크(Davos Agenda Week, 이하 다보스 2021)*를 온라인 화상회의로 개최
□ 본고는 다보스 2021이 제시한 주요 미래 과학기술 내용 다섯 가지를 선정
- ①5G를 통한 디지털 불평등 해소, ②AI·빅데이터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③인공위성 데이터 활용 기후변화 대응 및 일자리 창출, ④디지털 전환이 가져올 작업의 미래 ⑤핀테크를 통한 고령화 시대의 연금 리스크 대비
□ 코로나19에 따라 심화된 사회문제 해결과 재난 회복력(Resilience) 확보을 위한 디지털 친환경 기술 개발 및 활용 강화와 더불어 신성장동력을 둘러싼 국제 기술패권 경쟁 심화 관련 대응책 마련 필요
다. 목차
1. 검토배경
2. 다보스 2021에서 제시된 과학기술의 미래
3. 주요국 핵심 의제 및 추진방향
4. 결론 및 시사점
부록. 1. 다보스 2021과 OECD STI Out look 과학기술 분야 비교
라. 본분
1. 검토배경
2021년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은 지난 1월 26일부터 29일까지 다보스 의제 위크(Davos Agenda Week, 이하 다보스 2021)*를 온라인 화상회의로 개최
※ 1971년 창립 이래 매년 스위스의 다보스에서 연차회의가 개최되며, 주요국 정상 및 기업 CEO, 저명 학자 등이 모여 발제와 토론을 통해 주요 현안 및 의제를 논의
한・중・일 및 독일 프랑스 등 20개국 주요 정상, UN 및 IMF 등 21개 국제기구 수장, 백신 얼라이언스 등 8개 시민단체 대표가 참여
다보스 2021은 ‘위대한 복귀(The Great Reset)’라는 주제 하에 총7개 테마*로 구성
※ ①지구 살리기(How to Save the Planet), ②공정 경제(Fairer Economies), ③좋은 기술(Tech for Good), ④사회와 작업의 미래(Society & Future of Work), ⑤더 나은
비즈니스(Better Business), ⑥건강한 미래(Healthy Futures), ⑦지정학을 넘어 (Beyond Geopolitics) 제시된 과학기술 및 주요국의 관련 의제와 추진방향을 검토하고 2021
OECD STI Outlook과 비교
2. 다보스 2021에서 제시된 과학기술의 미래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라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과학기술의 사회문제 해결이 강조됨
코로나19는 업무와 일상 모두에서 광범위한 비대면 환경을 조성하여 디지털 전환을 촉진
팬데믹 시기 촉발・심화된 복잡한 사회문제(Wicked Problems) 해결 도구로 과학기술이 주목받음
본고는 다보스 2021이 제시한 주요 미래 과학기술 내용 다섯 가지*를 선정
※ ①5G를 통한 디지털 불평등 해소, ②AI・빅데이터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③인공위성 데이터 활용 기후변화 대응 및 일자리 창출, ④디지털 전환이 가져올 작업의 미래 ⑤핀테크를 통한 고령화 시대의 연금 리스크 대비
○ 5G를 통한 디지털 불평등 해소
코로나19에 따라 글로벌 디지털 접근성 양극화*가 심화되어 해결책 마련 필요
※ 유럽의 인터넷 접속 가능자 비율은 80% 이상인 반면, 아프리카는 30% 미만으로 추정됨
5G 클라우드 기반 스토리지 기술 개발을 통해 운영비용 절감 및 디지털 접근성 확대
○ AI・빅데이터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AI・빅데이터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를 통한 저소득 국가 의료 혁신 추구
※ 나이지리아에서는 AI기반 스마트폰 앱을 통한 출산질식(birth asphyxia)을 예측하고, 브라질에서는 AI플랫폼 기반 뎅기열 예측
시스템을 통해 30일 전 80%의 정확도로 발병을 예측함.
전자의무기록(EHR) 표준화 및 상호 운용성 개선을 통한 의료 빅데이터 활용
○ 인공위성 데이터 활용 기후변화 대응 및 일자리 창출
인공위성에 의해 수집된 기후・지리 데이터를 활용하여 아프리카 등 저개발국가 데이터 접근성 개선 및
불법 채굴 방지, 농업 생산성 개선 효과 기대*
※ Digital Earth Africa는 위성 데이터를 활용하여 아프리카 대륙에 최대 20억 달러의 경제효과 창출
데이터, AI, 블록체인 분야 R&D를 통해 일자리 창출, 첨단기술 재투자, 세수 확보 가능
○ 디지털 전환이 가져올 작업(Work)의 미래
감염병 등 고위험 분야에서 인간 의사결정 보완 및 대체를 위한 AI와 인간-기계 협업
원격업무 기반 긱(Gig)경제 플랫폼* 고도화에 따른 단기・주문형 직무의 증가 예상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
- 정책동향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사회서비스 통합, 역량강화형 복지·돌봄혁신 방안 2025-05-02
- 정책동향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심의회의를 통한 과학기술혁신 종합조정기능 강화 방안 연구 2025-04-29
- 정책동향 지역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기획 및 제도 구축‧활성화 방안 연구 2025-04-25
- 기술동향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연구(5차년도): 제7회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사전기획 연구 2025-04-09
- 정책동향 2024년도 과학기술분야 정책점검 체계 구축 및 국가과학기술현황 종합인식조사 연구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