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인공지능 기반 보건의료 기술 연구개발 동향
- 등록일2021-03-05
- 조회수4906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1-02-24
-
출처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인공지능#보건의료#연구기발
- 첨부파일
인공지능 기반 보건으료 기술 연구개발 동향
- 디지털 헬스케어 중심으로 -
Ⅰ. 서론
보건의료 산업의 패러다임이 치료 중심에서 예방 및 건강관리(healthcare) 중심으로 변화해감에 따라, 질병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여 질병을 사전 예방할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서비스의 중요성도 증가되는 추세이다. 또한, 의료영상 데이터를 필두로 건강검진 자료, 질병 자료, 전자의료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s : EMR), 유전체(OMICS) 데이터, 생화릅관 정보 등 의료 데이터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인간유전체 염기서열 판독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생명공학 기술 패러다임이 새로운 세대로 이동하고 있으며, 개인의 유전자 특성정보를 분석할수 있게 됨에 따라 헬스케어의 패러다임이 새로운 세대로 이동하고 있으며, 개인의 유전자 특성정보를 분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헬스케어의 패러다임이 발병후 치료에서 발병 전 예측에 따른 개인 맞춤 건강관리 개념으로 전환되는 데에 큰 역활을 하고 있다. 보건 의료 산업에서의 정보통신기술(ICT)은 이러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촉진시키고, 디지털 헬스케어의 위상을 이끌어 낸 것은 인공지능 (Artifical Intellingence : AI) 기술이다. 의료 서비스와 ICT가 접목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매년 10%를 웃도는 수준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 왔고 신종코로나(COVID-19) 시국과 맞물려 2026년 전 세계시장 규모가 6,394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료 데이터 분석에 의해 좀 더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질환에 대한 정보를 의료기관에 제공해 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치료 결과를 향상시킬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인공지능이 적용된 의료기기나 의료기술을 통해 의료행위의 효과서와 효율성이 제고되었다거나, 치료 비용 절감효과가 있다는 내용을 담은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 기술 및 산업의 전반적인 변화 가운데 인공지능 기술과 의료산업의 점점에서 어떠한 여구개발이 국내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느지 알아보기 위해 과학계량학적 방법론을 통한 기술 트렌드 분석을 수행하였다. 현재 학계와 산업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보건의료 기술 연구 현황을 논문 데이터를 통해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미래의 나아갈 방향을 전망해보고자 한다. 본 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다음 장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보건의료 기술 관련 논문현황을 살펴본다. Ⅲ 장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보건의료 연구지형 분석 결과를 논하고, Ⅳ장에서는 주요연구기관과의 협력 강도 수준을 분석한다. Ⅴ장에서는 인공지능 기반의 보건의료 기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Ⅱ. 국가별 인공지능 기반 보건의료 연구현황
1. 인공지능 기반 보건의료 관련 논문 분석 방법
연구개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로 논문과 특허가 있다. 보편적으로 학술논문은 기초기술 연구 활동의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고, 기술특허는 산업활동의 성과를 나타내는 대리변수로 주로 활용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20 Bioengineering for space 학회 참석 후기
-
다음글
- 상피-중간엽(epithelial-mesenchymal) niche가 줄기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출처: [BRIC View, 상피-중간엽(epithelial-mesenchymal) niche가 줄기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김현이],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report&id=3719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