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산업기술 동향워치
- 등록일2021-03-26
- 조회수3804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1-03-23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산업기술동향#기술동향
- 첨부파일
산업기술 동향워치
◈목차
이슈포거스
코로나19 이후 일자리의 미래 전망 (McKinsey, 2.18)
산업⋅기술동향
’21년 변화 주도적 10대 기술 (美 CB Insights, 2.18)
’20 기업가정신 지수(NECI) (GEM, 2.19)
차량용 반도체 부족 현상과 향후 전망 (日 ITI, 2.22)
영국 연구 및 기술 인력 현황 조사 (英 Royal Society, 2.15)
독일 중소기업의 AI 활용 현황 (獨 KfW, 2.19)
’50년 자동차산업 시나리오 (PwC, 2.22)
정책동향
글로벌 탄소중립 실현 정책 대응 현황 (日 경제산업성, 2.17)
미국 공급망 검토 행정명령 공표 (美 White House, 2.24)
미국 바이든 정부의 통상정책 전망 (日 미즈호은행, 2.9)
미·중 관계 지형 고찰 (獨 MERICS, 2.10)
AI 부문 국제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 제안 (美 Brookings, 2.17)
디지털 전환의 영향 및 대응 (美 Brookings, 2.12)
EU 핵심 디지털 기술 파트너십 (歐 EC, 2.23))
영국 고위험 고보상 연구 전담 기관 설립 (英 BEIS, 2.19)
독일 녹색수소 글로벌미래연구소 설립 지원 (獨 BMBF, 2.8)
독일-프랑스 유럽 산업전략 논의 (佛 Ministère de l’économie, 2.16)
프랑스 디지털·환경 로드맵 (佛 Ministère de l’économie, 2.23)
일본 디지털개혁 관련 법안 의결 (日 메이지야스다종합연구소, 2.12)
중국 녹색저탄소 순환발전에 관한 지도의견 (中 국무원, 2.22)
◈본문
이슈포커스
코로나19 이후 일자리의 미래 전망 (McKinsey, 2.18)
○ 맥킨지(McKinsey)는 8개국*을 중심으로 노동수요, 직종 구성(mix of occupation), 인력 스킬 면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이 유발하는 지속적 파급효과를 평가하고 향후 일자리의 미래를 전망
* 글로벌 인구의 50%, GDP의 62%를 차지하는 미국, 중국, 프랑스, 독일, 인도, 일본, 스페인, 영국
- 코로나19 이전까지 가장 광범위한 일자리 붕괴 요인은 신기술 및 증가하는 무역 연계 (trade links)와 연관되어 있었으나 팬데믹 이후 물리적 근접성의 중요성이 증대
- 이에 맥킨지는 800개 이상의 직종을 동료 및 고객과의 근접성, 대인 상호작용 횟수, 현장과 실내 특성에 따라 10개 영역으로 분류한 후, 각 범주별로 요구되는 물리적 근접성(proximity)을 수량화
※ 일자리 영역별 물리적 근접성은 100점 기준으로 의료(87) 개인관리(83) 현장에서의 고객 상호작용(76)
여가 및 여행(75) 재가지원(home support)(70) 실내 생산 및 창고업(70) 컴퓨터 기반 사무(68)
교실 및 훈련(68) 물품운송(58) 실외 생산 및 유지보수(54)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물리적 근접성이 높은 영역의 일자리부터 보다 큰 폭의 변화를 겪으며 장기적으로 불안정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
※ 예를 들어 현장 고객 상호작용 부문의 일부 업무가 전자상거래 및 디지털 거래로 이동하는 경향이 지속되고 여가·여행 영역의 노동수요는 원격근무로의 전환 및 출장 감소 등으로 감소될 전망
○ 코로나19는 원격근무·가상회의 지속 전자상거래와 가상 거래 호황 자동화 및 AI 도입 촉진의 3대 트렌드를 가속화
- (원격근무·가상회의) 8개국 800여 직종에서 활용되는 업무 2,000개 이상을 대상으로 팬데믹 이후 원격근무의 광범위한 지속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선진국 인력의 20~25%가 주 3~5일 재택근무를 수행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파악*
* 생산성 손실 없이 수행할 수 있는 원격근무로 한정해 분석
※ 경영인 27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기업 평균적 30%의 사무실 공간 감축 계획을 수립한 것으로 나타났고
(’20.8), 팬데믹 기간 광범위한 화상회의 활용에 따라 향후 출장 여행의 약 20%가 회복되지 않을 것으로 추정
- (전자상거래) ’20년 전자상거래 비중이 코로나19 이전 대비 2~5배 증가한 가운데* 디지털 거래로의 전환은 배달·운송·창고 일자리 부문 성장을 촉진해 중국의 경우 ’20년 상반기 전자상거래·배달·소셜미디어 부문 일자리가 510만여 개 증가
* 국가별로 ▲스페인 4.7배 ▲영국 4.5배 ▲미국 3.3배 ▲독일 2.3배 ▲일본 1.8배 ▲중국 1.6배 증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
- 기술동향 Virus Nanoparticles (VNPs) 기술동향 및 전망 2025-02-12
- 정책동향 [제268호 과학기술&ICT 동향] 미국, 연구 보안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공개 등~ 2024-08-26
- 기술동향 [주간기술동향 2134호] 설명가능 인공지능 기술 동향 및 핵심 과제 2024-05-29
- 기술동향 [KEIT 이슈리뷰 2024-3월호] 4. 의료인공지능 기술동향과 발전방향 2024-04-04
- 기술동향 [2024년 2호] (산업‧기술동향) ’24년 10대 미래 기술 (MIT Technology Review, 1月) 2024-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