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데이터로 보는 임신과 코로나19
- 등록일2021-03-31
- 조회수4777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3-22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임신#바이러스#백신#태아
- 첨부파일
데이터로 보는 임신과 코로나19
※ 네이처,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1-00578-y
ㅇ 일반적으로 호흡기 바이러스는 임신부에게 특히 위험하지만, 코로나19가 임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는
부족한 상황
- 하지만 최근 코로나19 확진을 받은 임산부에 대한 추적 분석 등 그간 데이터가 부족하였던 코로나19와 임신에 대한
연구결과가 발표
ㅇ 美 산부인과 전문의 아프샤르 연구팀은 등록시스템을 구축해 임신기간 동안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여성들을 추적
- 코로나19에 감염된 임신부는 같은 연령의 비(非)감염 임신부보다 병원에 입원하거나 중증질환을 앓을 위험이 높음을 발견
- 조산의 가능성은 보유하고는 있지만 아기들의 사망위험은 대체로 낮음
ㅇ 임신부의 경우 위험 가능성이 높지만, 대체로 아기들은 중증호흡기감염에 안전하며, 수직감염(모자감염)의 위험 낮음
- 태반, 탯줄, 혈액에서 샘플을 채취해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어머니에게서 태아에게 전이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게 나타남
※ 일부 연구사례에는 바이러스 감염이 태반을 손상시킴으로써 아기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는 결과도 있음
ㅇ 이러한 결과는 임신기간 동안 병원에 입원한 여성들에게서만 수집된 것
- 임신부 전체의 코로나19 감염 현황 및 임신부의 백신 접종 안전성에 데이터는 여전히 부족
< 산전위험 >
ㅇ 임신부의 몸은 태아에게 해를 끼치지 않기 위해 면역력을 약화시켜 감염병 합병증에 취약하며, 중병을 앓을 경향 높음
※ 2009년 팬데믹 당시, H1N1 인플루엔자에 걸린 여성들은 조산과 사산의 위험 증가
- 인플루엔자에 걸린 임신부는 비임신 여성보다 병원에 입원할 위험이 높으며, 조산과 사산의 위험도 증가
- 코로나19에 걸린 임신부는 그렇지 않은 임신부보다 조산 확률 3배 높음
< 수직위험(모자감염) >
ㅇ 코로나19는 사산이나 태아성장 중단과는 상관관계 없음을 발견
ㅇ 모자(수직)감염의 확률은 낮으며, 비강이나 구강검사를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아도 혈액이나 제대혈에서 바이러스 발견되지 않음
- 출생 직후 코로나19 검사에서도 양성 판정을 받은 아이는 없었으며, 코로나19에 감염된 엄마에게서 태어난 아기들의 건강 상태도 전반적으로 양호
ㅇ 다만, 일부 미공개 데이터에서 코로나19에 걸린 소수의 임신부 태반 조직이 폐 조직 염증반응과 동일하게 손상되어 아기의 뇌가 손상된 사례 보고
< 백신접종 >
ㅇ 백신 초기 임상시험에서 임신부가 배제되어, 임신부의 백신 안전성에 대한 데이터 부족
- 이에 미국 CDC와 영국 백신접종·면역공동위원회는 기저질환을 갖고 있거나, 보건의료에 종사하는 고위험군 임신부의 백
신접종을 스스로 결정하도록 권고
ㅇ 연구팀은 코로나19가 임신부에게 미치는 위험이 더 높으며, 코로나19 백신이 임신부나 태아에게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밝힘
- FDA와 CDC의 임신부 백신접종 효과 모니터링 결과에서도 임산부와 임신 준비 여성 12,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결과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음
ㅇ 연구팀과 백신 옹호단체는 코로나19 사례를 계기로 임상시험의 표준을 변경하고, 최초 임상시험부터 임산부를 포함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밝힘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