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i ISSUE Report]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반 가축 헬스케어
- 등록일2021-04-09
- 조회수4651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1-04-06
-
출처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인공지능#빅데이터#헬스케어
- 첨부파일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반 가축 헬스케어
◈ 가축헬스케어는 인간의 건강을 위해 동물의 건강을 지켜야한다는 원 헬스(One Heath) 개념과 함께 주목받고 있으며, 전 세계적인 가축전염병 발생 증가와 빠른 바이러스 변이, 신종 바이러스의 출현 등으로 인해 사후적 관점의 치료가 한계에 봉착한 시점에 필수적인 예방적 케어 방식임
☞ 국내의 상용화된 가축헬스케어기술은 생체데이터 수집을 통해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모니터링으로 진단과 처방이 이루어지는 형태의 기술개발이 주를이룸
◈ 목차
1. 가축 헬스케어 등장 배경
2. 가축 헬스케어 필요성
3. 산업 현황 및 전망
4. 기술 수준 및 국내외 현황
5. 농업분야 시사점
◈ 본문
1. 가축 헬스케어 등장 배경
■ 전 세계적으로 가축전염병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밀식사육 및 방역 미흡 등으로 가축질병으로 인한 국민 피해가 가중되고 있음
• 국내에서도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조류인플루엔자(AI), 구제역(FMD) 등의 가축 전염병의 확산으로 인한 농가 피해 및 축산 먹거리 불안이 심해지고 있음
• 빠른 바이러스 변이와 신종 바이러스의 잦은 출현으로 기존의 백신이나 항생제 등 사후 적 치료가 한계에 봉착하여 면역관리 및 예방의학 관점의 솔루션이 필요한 상황임
- 현재는 예방적 관점의 헬스케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이나 데이터 기반의 질병 조기대응의 연구개발에 필요한 가축종합 데이터가 없고, 이를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건강관리 시스템도 없는 상황임
■ 원 헬스(One Health) 개념의 등장
• 원 헬스(One Health) 개념은 19세기부터 인수공통감염병을 중심으로 의학과 수의학 사이에 경계가 없음을 강조한 개념에서 출발하였으며,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서도
사람의 건강은 동물 및 환경과 하나로 연계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각 분야에서 최적의 건강을 제공하기 위해 다학제적 협력과 대화를 추진해나가야 함을 밝힘
- 2003년 사스(SARS) 이후 세계 각국에서 원 헬스 개념을 도입하기 시작했으며, 우리나라는 2015년 메르스(MERS) 대유행과 함께 원 헬스 개념에 입각한 동물
정책수립의 필요성이 부각됨
- COVID-19의 시작점으로 박쥐, 천산갑 등의 야생동물이 지목됨에 따라 인간의 무분별한 생태계 파괴 행위로부터 동물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개념으로 원 헬스
개념이 다시 주목받고 있음
■ 동물 헬스케어 개념
• 동물은 가축과 반려동물로 나누어지며 헬스케어는 예방적, 사후적 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 가축은 야생동물을 길들이기, 개량한 것으로 인류생활에 유용한 동물을 통틀어 이르며 현대사회에서는 주로 먹거리의 대상으로 활용되고 있음
- 반려동물은 사람이 정서적으로 의지하기 위해 집에서 기르는 동물을 뜻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반려자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
- 예방적 헬스케어는 관리 장치나 시스템을 활용하여 예측가능한 질병을 선제적 으로 차단, 관리하는 것을 의미함
- 사후적 헬스케어는 백신, 항생제 등 치료를 통해 건강을 유지시키는 것을 의미하나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의 발생 및 유행이 심각한 상황임
■ 동물 헬스케어 범위
• 동물 헬스케어는 반려동물 헬스케어, 가축 헬스케어로 나누어지며 반려동물의 질병을 미리 예방하고 진단하는 기기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어 펫코노미 성장세가
가파름
- 생애주기가 짧은 반려동물의 특성상 질병이 있거나 건강에 이상이 있을 시 케어가 쉽지 않아 이를 미리 확인해 관리하고자하는 반려인들의 니즈가 반영됨
- 가축 헬스케어는 가축 질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농가의 피해를 줄이고 소비자에게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니즈로 인해 산업 지속 성장중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