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스마트 디바이스용 센터

  • 등록일2021-04-13
  • 조회수4010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1-04-07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기술동향#스마트 디바이스
  • 첨부파일
    • pdf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2021-04호 「스마트 디바이스용 센서」.pd... (다운로드 4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스마트 디바이스용 센터

 

◈ 목차
제1장 개요
제2장 기술・산업 동향
제3장 정책동향
제4장 국내 R&D 투자동향
제5장 결론
 

◈ 본문

제1장 개요
1.1. 작성 배경
▣ COVID-19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온택트(Ontact) * 환경의 제품・서비스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
*비대면 접촉 방식을 말하는 언택트(Untact)와 온라인(Online)을 결합한 합성어
○ 디지털 기술의 발달 및 4차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코로나19’를 계기로 더욱 긴급해지고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 이동의 제한에 따라 기업에서는 재택근무를 도입하고, 소비, 교육, 금융, 의료, 문화 등에서 새로운 온택트 제품・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

1.png


 
▣ 스마트폰의 성공 이후 등장한 스마트 디바이스*는 온택트 환경에 필수적인 기기로 각광받고 있으며, 온택트와 관련된 기기・센서 시장을 견인하고 있음
*스마트폰 또는 사물인터넷(IoT)과 연동되거나 블루투스, Wi-Fi(와이파이), 5G 등의 통신을 통해 동작하는 모든 기기들을 포함
 ○ 스마트 디바이스 제품은 인체에 직접 착용하는 웨어러블 형태부터, 유무선 및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기기-기기 간 상호 작용이 가능한 디바이스 등의 형태로 등장하고 있음
- 현재 3세대라 불리는 스마트 디바이스 제품은 다기능 웨어러블 기기(무선 이어폰, 스마트 워치 등), 증강현실(VR/AR) 기기, 드론 및 AI 비서 등을 통칭함
○ 최근 스마트폰 연결 환경을 기반으로 지능적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의 다기능화 및 고사양화가 진행 중이며, 이를 위한 최신 센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
- 모션(속도, 고도, 자이로, 위치/변위 등), 조도/이미지, 음향, 터치 및 지문 센서 등이 스마트 디바이스에 사용되며, 최근 라이다 센서가 내장된 제품도 출시함

2.png

▣ 스마트 디바이스용 센서는 경박단소, 원가 인하 및 모듈화 요구로 참여업체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완제품에 종속족인 특징을 가짐
○ 센서는 전형적인 다품종 소량 생산 업종으로 모듈화 및 경박단소(輕薄短小, 가볍고 얇고 짧고 작음)화 요구에 따라 기술발전 속도가 빠르며 제품의 수명주기가 짧음
○ 수요기업의 요구에 따라 주문제작 되므로, 기술개발 역량이 부족하거나 자본력이 부족한 중소 업체는 경영악화 및 수요처 감소로 인해 대부분 메이저 부품업체에 M&A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