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융합 연구 리뷰 Vol.7 NO.4] 04WITH COVID-19와 스마트시티 성공전략 등 ~

  • 등록일2021-04-27
  • 조회수4127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1-04-23
  • 출처
    융합연구정책센터 (KIST)
  • 원문링크
  • 키워드
    # 스마트시티#COVID-19# 모빌리티 서비스 기술 #모빌리티연구 동향#융합연구정책센터 (KIST)
  • 첨부파일

 

융합 연구 리뷰 Vol.7 NO.4
 
◈ 목차
01 편집자 주
03 WITH COVID-19와 스마트시티 성공전략
25 스마트시티의 모빌리티 서비스 기술 및 연구 동향
 
◈ 본문
 
01 편집자 주

  

WITH COVID-19와 스마트시티 성공전략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위치해 있는 포블레노우(Poblenou)는 방직 산업의 중심지로 번성했었으나 1960년대 중반 이후 탈산업화와 신규 산업단지 조성으로 기존의 산업단지는 노후화로 쇠퇴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스타트업・정보통신기술・바이오 등 지식 기반 산업을 중심으로 한 지식집약형 첨단산업단지로 탈바꿈하였다. 도심의 상업지구와 연결되는 간선도로 설치, 교통망과 통신망 정비 등을 통해 스마트시티 인프라를 조성하였으며, 보전 가치가 있는 산업단지는 관광지로 유지하고 미디어・디자인・에너지・정보통신・의료 기술 관련 업체와 기관을 입주시켰다. 그 결과 포블레노우에는 8,800여 개의 기업이 있으며 9만 개가 넘는 일자리가 창출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2000년 시작된 스마트 시티 기반 도시재생 프로젝트인 22@바르셀로나 프로젝트로 나타난
결과이다. 우리나라도 스마트시티를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 중 한가지로 선정하여 육성하고 있다. 2020년 7월, 정부는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2019~2023)’을 수립하였다. 종합계획은 스마트시티 조성과 확산, 도시 문제해결 혁신 생태계 육성을 목표로 하며 이에 따라 정부는 2022년까지 25곳 이상의 노후도시에 저비용・고효율의 스마트시티 기능을 도입한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1부에서는 스마트시티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전략 및 방법들을 소개한다.
 
스마트시티의 모빌리티 서비스 기술 및 연구 동향
스마트시티란 도시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시민의 복지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정보통신기술(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네트워크, 블록체인 등 4차 산업혁명 대표기술을 활용하는 도시이다. 스마트 모빌리티는 스마트시티 개념의 중요한 부문 중 하나이다. 2020년 8월 26일자 사이언스타임즈 기사에 따르면, 네비건트 리서치가 전 세계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170여 개의 주요 프로젝트를 분석한 결과, 80%는 교통, 에너지 분야의 정부 서비스와 관련된 분야에 집중되어 있고, 50% 이상은 교통 또는 이동에 관련된 연구 프로젝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교통 분야가 스마트시티의 여러 분야 가운데 가장 주목을 받는 이유는 교통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고 교통 관련 문제가 가장 해결이 시급한 분야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1부에서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개념을 살펴보고 스마트시티에 적용되는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 통합모빌리티 서비스(MaaS) 등 스마트 모빌리티의 국내외 다양한 서비스를 소개한다. 전 세계 국가들이 도시생활의 질 향상 및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앞 다투어 스마트시티 구축 정책을 도입하고 도시의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스마트 모빌리티에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전략적 투자와 신속한 실행으로 교통체증, 환경오염 문제 해결 및 도시 내에서의 이동성・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교통 혁신을 이끌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03 WITH COVID-19와 스마트시티 성공전략
 
Ⅰ 안전과 스마트시티
 
본 장에서는 사람과 환경이 공존하는 안전한 도시, 지능형 스마트 안전도시를 제안한다. 베이징시는 국가안전의식, 사회적 책임감 함양을 목적으로 청소년부터 국가안전관을 대상으로 안전전문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안전교육시범기지는 중국정책과학연구회 국가안전정책위원회의 주도로 장쑤 루동(江蘇如 東), 쓰촨 총라이(四川功崍) 등에서 운영 중이다. 한편, 캐나다 노바스코샤주(Nova Scotia)의 ‘학교 내 긴급 상황 관리 매뉴얼(School Emergency Management Plan, 2008)’에서는 학교에서 발생 가능한 긴급 상황을 ①폭발물 위협, ②위험인물 출현, ③화재 및 폭발, ④내부 및 외부의 환경적인 위협, ⑤의사소통 수단 상실(전화선 단절 등), ⑥난방 공급 중단, ⑦식수 공급 중단, ⑧전기 공급 중단, ⑨급격한 기상 변화, ⑩자살 혹은 자살 시도로 분류하고 학교건물 밖으로 탈출하는 대피(evacuation) 훈련을 1년에 최소 6회 시행해야 하며, 이 중 3회는 새로운 학기가 시작되기 전에, 나머지 3회는 학기 중에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대피 후 모든 인원이 미리 정해진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는 재배치(relocation) 훈련을 적어도 1년에 1회 실시해야 하며, 외부적인 위협으로 인해 학교 전체 구성원이 건물 또는 교실 안에서
대기하는 상황에서 건물을 폐쇄하는 고립(isolation) 상황 훈련을 1년에 2회씩 실시한다. 캐나다는 「학교법」 (School Act, R.S.A. 2000) 45조 8항에서 ‘상위 교육기관은 각 학교에 등록한 학생에게 안전한 학교 환경을 제공할 의무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고, 「직업건강 및 안전에 관한 법률(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Code)」에는 모든 학교는 긴급 상황에 대비하여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계획(emergency plan) 및 훈련을 실시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재난재해는 생활 속에서 언제 어디서나 그리고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다. 안전은 예방으로부터 시작된다. 그 대표적인 것이 풀프루프(fool proof) 이다. 이는 작업자가 과오나 조작실수를 범하는 경우 기계가 아예 동작을 하지 않도록 하여 타 작업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설계하거나 초보자나 사용 미숙련자가 잘 모르고 제품을 사용하더라도 안전 확보가 가능한 설계이다. 또 한편으로 안전은 복구이다. 평상 시의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도록 피해 발생 직후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설계인 페일세이프(fail safe)가 대표적이다. 이 설계의 원칙은 사고가 나더라도 후속 단계에서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다. 시스템 오류가 발생했을 때 이를 쉽게 복구( recovery)할 수 있도록 설계를 하거나, 또는 고장 난 시스템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부품을 병렬체계 설계 또는 대기 체계 설계와 같은 중복설계로 구성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