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KBCH 브리핑] EU집행위 NGT기술 관련 검토 보고서 발표

  • 등록일2021-05-06
  • 조회수3976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1-05-06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EU집행위#NGT기술#검토결과#한국바잉오안전성정보센터#생명공학연구원
  • 첨부파일


EU집행위 NGT기술 관련 검토 보고서 발표
 
 
※ 2021년 4월 29일, EU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유전체신기술(New Genomic Techniques, NGT)에 대한 검토 보고서를 발표하였습니다. 2019년 EU 이사회(Council)는 집행위원회에게 EU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신기술에 대한 GMO규제 적용 여부에 대해 검토해 주길 요청했고, 검토 결과 신기술을 기존의
GMO규제에 적용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부분도 발견되어 향후 새로운 규제 체계 설계를 논의하기 위한 광범위하고 공개적인 협의과정에 착수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에 관련 내용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 연구 배경
 
□ 2019년 11월, 유럽 이사회(Council)는 유전체신기술에 대한 EU 사법 재판소의 판결에 비추어 규제 실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줄 것을 집행위원회에 요청
 ㅇ 이사회는 사법재판소의 판결로 돌연변이 기술에 대한 GMO 규제의 적용 범위가 명확해 졌지만, 회원국 규제 당국 뿐 아니라 EU 산업계, 특히 식물 육종분야의 연구와 그 이상의 범주에 해당 하는 이해당사자들에게 실질적인 문제가 제기되었음을 인식
 
□ 집행위원회가 연구를 수행했으며, 전문가, 회원국의 규제기관, 유럽 연합 차원에서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수집하고 협의를 진행
 ㅇ 각기 다른 관심사와 견해에 대해 균형있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는 다양한 범주의 이해당사들이 협의에 참여하였고, ‘선진규제 가이드라인(Better Regulation guideline)1)’에 따라 투명하고 참여 적인 협의 과정을 따름 
 ㅇ 또한 EFSA의 기술적 자문, 집행위 협력연구센터(JRC)의 보고서, 최고 과학 자문 그룹과 유럽 과학/신기술 윤리 그룹의 의견도 참고
 
2. 연구 목적
 
□ 농식품, 의약, 산업계를 포함 광범위한 활용 가능성이 있는 NGT를 미생물, 식물, 동물에 적용하는 것에 집중
 
□ 규제 상황, 연구 및 응용 가능성, 안전성, 잠재적 혜택/우려, 윤리, 공공 인식 등 NGT를 둘러싼 다양한 주제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와 최신 정보를 명확하게 제공하며, 필요한 경우 정책에 필요한 추가 사항을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
 
3. 주요 내용
1) 유전체신기술(New Genomic Techniques, NGT)
 
□ 유전체신기술은 생물체의 유전 물질을 변형할 수 있는 기술로, 이 보고서에서 NGT는 지침 2001/18/EC 채택 이후 개발된 기술을 지칭
 ㅇ ex.1 CRISPR, TALEN, Zinc-finger, Mega nuclease techniques, prime editing과 같은 유전자편집 기술
 ex.2 Oligonucleotide directed mutagenesis와 같은 돌연변이 기술
 ex.3 RNA-dependent DNA methylation 과 같은 후생유전학적 유전자편집(epigenome editing) 기술
 
□ NGT는 다양한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기술은 특성에 맞게 유전체를 바꾸는데 이용, 기술에 따라 다른 결과와 제품을 얻을 수 있음
 
□ NGT로 개발된 생물체는 매우 다양. 원래 변형되지 않은 생물체와 비교했을 때 자연적으로 또는 전통 육종방법을 통해 발생하는 아주 작은 변화, 또는 생식적으로 유사성이 없는 생물체로부터 외부 유전 물질을 삽입하는 다중/확장된 변형도 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