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2020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연보
- 등록일2021-06-11
- 조회수4366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1-06-10
-
출처
국립보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인체자원현황#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 첨부파일
2020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연보
◈목차
한눈에 보는 2020연보
Part 1. 개요
>>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KBP) 소개
ㆍ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소개
ㆍ 비전 및 전략
ㆍ 추진 경과
ㆍ 수행 체계
ㆍ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의 역할
>> 한국인체자원은행네트워크(KBN) 인체자원 관리
ㆍ KBN 인체자원 수집ㆍ분양ㆍ활용 체계
ㆍ KBN 인체자원 분양 신청방법
ㆍ KBN 인체자원 수집ㆍ분양ㆍ활용 개요
Part 2. 인체자원 현황
>>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 인구집단 기반 인체자원
ㆍ 수집
ㆍ 분양
ㆍ 활용
>> 인체자원단위은행 - 질병 기반 인체자원
ㆍ 수집
ㆍ 분양
ㆍ 활용
Part 3. 주요 업무 및 활동
>> 인체자원은행 운영 표준화
>>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발전전략
>> 인체자원 품질관리 고도화
>> 수요자에게 다가가는 분양서비스 활동
>> 심포지엄 개최
>> 교육 및 홍보
Part 4. 부록
>> 인체자원 현황 참고자료
>> KBN 인프라 현황
>> 분양 대상 인체자원 현황
◈본문
한눈에 보는 2020연보
Part 1. 개요
>> 1.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KBP) 소개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2001년부터 시작된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을 통해 다양한 인구집단 기반 (Population-based) 인체자원을 수집, 관리하고 있었으나, 질병 기반(Disease-based) 인체자원은 대학병원이나 소규모 인체자원은행을 통하여 공급자 중심으로 관리됨에 따라 양적, 질적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개인 연구자가 직접 충분한 수의 인체자원을 안전하게 확보하는 것은 예산과 기술력 확보, 인프라 유지 등에 어려움이 많으며, 연구자의 연구조건을 충족하는 인체자원의 종류 및 수량을 공급함에 있어 1개 병원(은행) 또는 지자체 차원에서는 수요에 적합한 제공이 어렵기 때문에 전국적인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공동 확보· 활용이 요구되었습니다.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인체자원 관리와 법적 기반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고, 국내 보건의료 R&D 발전과 국민의 건강 증진을 목표로 2008년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Korea Biobank Project, KBP)’이 시작 되었습니다.
‘인체자원단위은행 지원사업’을 통해 대학병원 중심으로 인체자원단위은행을 지정, 각 기관에 예산을 지원함으로써 체계적인 질병 기반 인체자원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였고, 현재 국립보건연구원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주관부서: 바이오뱅크과)과 17개 대학병원 소재 인체자원단위은행이 한국인체자원은행네트워크(Korea Biobank Network, KBN)를 구성하여 국가 주도의 인체자원 수집 체계를 구축하고, 국내 보건의료 분야 연구에 활용될 수 있도록 수집된 인체자원을 연구자들에게 분양 중에 있습니다.
2013년부터는 국립마산병원(결핵 자원)과 한국원자력의학원(방사선 혈액자원)이 KBN 협력병원으로 참여하여 정보시스템 사용 및 교육 참여 등 KBN 운영시스템을 공유할 뿐만 아니라 사업 관련 정책결정 시 자문 역할을 수행하는 등 KBN 운영에 적극 협력하고 있습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