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K-디지털헬스케어 이해하기-병원정보시스템 편

  • 등록일2021-07-09
  • 조회수4079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1-07-08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병원정보시스템#디지털헬스케어
  • 첨부파일


K-디지털헬스케어이해하기 - 병원정보시스템 편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본문


1. 서론


병원정보시스템이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이 전산시스템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 해 진료, 간호, 행정, 재정, 물류, 법제 및 인사와 같은 처리를 전산화한 시스템을 말한다. 지금 까지 병원정보시스템은 의료진과 병원 행정가들에게 병원의 행정적 부담을 감소시키고, 환자 들에게 보다 빠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디지 털화된 의료데이터가 기하급수적으로 축적되면서 병원의 데이터를 이용해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과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의료진의 모바일 환경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병원정보시스템의 데이터를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모바일 병원정보시스템이 구현하고 있다. 최근 설립되는 국내병원의 경우, 병원 내에 진료통합관제실을 두고 병원의 진료 상황을 통합 적으로 관리하기 시작했다. 본서에서는 국내 병원정보시스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현재 추진 중인 R&D 현황을 설명한다


2. 본론


병원정보시스템이란 병원정보시스템은 병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필요하다. 병원 내의 진료와 진료 지원 업무의 생산성을 향상하게 하고, 의료서비스의 질을 증가시키며, 인사, 물자, 자금의 배치를 최적화하 며, 데이터에 근거해 합리적 병원 운영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현대 의료에서 병 원정보시스템은 병원 운영의 신경계라 여겨진다. 이런 신경계가 원활하게 동작을 할 때 병원 운 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과거의 병원정보시스템은 주로 병원의 운영계만을 담당했 었지만, 현재의 병원정보시스템은 병원의 분석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3차 병 원이 병원정보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할 경우 적게는 1년에서 많게는 3년이란 시간이 필요하다. 시스템 구축에 드는 비용은 최소 몇백억 원에서 많게는 수천억 원이라는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 다. 병원은 왜 이렇게 막대한 시간과 비용을 감수하면서까지 병원정보시스템을 고도화하기 위 해 노력하고 있는 걸까? 병원은 다양한 사람이 함께 일하는 곳이자 의료계의 이해 당사자가 얽힌 관계 속에서 합리적 인 의사결정을 빠르게 해야 하는 곳이다. 

 

전 국민 의료보험을 하는 국내의 경우, 병원은 보건복 지부와 산하기관들의 보험료 청구와 관련된 감사를 받아야 한다. 또한, 의료기기 사용, 처방전 의 발행 및 의약품의 유통, 실손 보험료의 청구와 같은 병원의 고유한 업무뿐만 아니라, 전문의· 전공의 교육, 병원 부대시설관리, 전산실 운영 등 다양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한다.

 

 병원정보시스템은 한 병원의 진료와 행정 운영에 관한 철학을 담아서 이를 단계별로 프로세 스를 만들어 전산화한 시스템이다. 일반인들이 생각하기에는 모든 병원의 의료서비스 프로세 스가 같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병원이 같은 프로세스를 갖는 경우는 거의 없다. 수십 년씩 병원 을 운영하면서 병원마다 최적화된 진료와 행정 프로세스를 만들고 이를 전산화 시스템으로 전 환해 놓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1차 의료기관인 동네 의원은 진료 프로세스가 비교적 단순하고, 입력할 정보도 간단하기에 병원정보시스템의 구조를 비슷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1차 의료기관 용 병원정보시스템은 매달 몇만 원에서 몇십 만 원 정도의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다. 3차 병원의 병원정보시스템은 진료부분, 전략경영부분, 행정지원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