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소재기술백서 2020

  • 등록일2021-08-05
  • 조회수4187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21-07-01
  • 출처
    한국재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소재기술백서
  • 첨부파일


소재기술백서2020


◈목차

 

1부. 소재기술백서의 개요 

 

제1장 소재기술백서의 주제
제2장 소재기술백서의 구성
제3장 소재의 현황 및 이슈
 
2부. 통계조사분석
제1장 산업규모 현황분석
제2장 무역 현황분석
제3장 기술무역 현황분석
제4장 국가 연구개발 투자 현황분석
제5장 기업 연구개발 투자 현황분석
제6장 논문 현황분석
제7장 특허 현황분석
제8장 기술료 및 사업화 현황분석
 
3부. 기술동향분석
제1장 방역·의료 소재기술
제2장 언택트 환경·디지털 소재기술
제3장 친환경·신에너지 소재기술
 
4부. 특집 : 해외 정책 및 연구개발 동향
제1장 소재 분야 글로벌 정책 동향
제2장 향후 10년간(2020-2029) 유망 소재연구개발 분야
 
집필진
과년호 소개

 

◈본문

 


 

제1장 소재기술백서의 주제
 
1. 2020년도 핵심 주제 : 포스트(post) 코로나 대응 소재
1) 주제 선정 배경

□ 2020년 3월 이후 코로나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며 세계 경제 및 사회에 전례없는 큰 충격을 주고 있음
○ 가계 및 기업의 비대면 활동 유인이 커지면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가속화
○ 비대면, ICT, 바이오헬스 중심으로 산업의 구조 전환 가속화
○ 비대면 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 창출 예상)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거대한 변화를 도약의 기회로 만들기 위해 과학기술 기반의 준비가 필요
○ (제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한국판 뉴딜을 통해 4차 산업혁명시대의 선도적 개척자로 도약하기 위해 코로나 이후 미래를 준비하는 과학기술정책* 논의(2020.08.06.)
* 디지털 치료제, 스마트 물류센터 등 코로나 이후 영향이 큰 8개 영역 30개 기술 발굴하여 포스트 코로나 유망기술로 제시
○ (과학기술계 출연연구기관) 신종 바이러스 융합연구단 등을 중심으로 코로나 진단,예방, 치료, 확산방지 등 분야별 융합연구개발 수행 중

□ 이에 소재기술백서 2020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대응 소재기술’ 을 주제로 방역·의료 소재, 언택트 환경·디지털 소재, 친환경·신에너지 소재와 관련된 기술동향을 분석하였음(상세내용 3부 참조)
 

2) 포스트 코로나 대응 관련 소재기술의 분류

○ 본 백서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대응 소재’ 에 해당하는 기술 분야를 선정하여, 전문가 심층리뷰를 통해 본 백서에서 분석할 3개 기술분야, 11개 소재기술 분야를 선정하였음

1.png


 
○ 포스트 코로나 대응과 관계된 11개 소재기술을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음

2.png


 
2. 소재의 범위

본 백서의 소재 산업범위는 ‘부품소재 전문기업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별 시행규칙’이 정한 범위로 한정하며, 소재 기술분류는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를 따르고 있음

○ [소재의 산업 범위]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 소재산업의 범위는 섬유제품 제조업(C13).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C20),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C2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C23), 1차 금속 제조업(C24) 등 5대 중분류에서 추출됨
 - 구체적인 소재분야는 위 5대 중분류별 세분류(번류번호 4자리) 및 세세분류(분류번호 5자리) 단계에서 정하고 있음1)
 - 이러한 소재산업의 범위는 「부품·소재 전문기업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규칙에 근거함
 

3.png


○ [소재의 기술 분류]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에서는「재료(Materials)」라는 대분류가 있으며, 총 8개의 중분류가 있음2)
 - 재료기술의 중분류는 ①금속재료, ②세라믹재료, ③고분자재료, ④주조/용접/접합, ⑤소성가공/분말, ⑥열/표면처리, ⑦분석/물성평가기술, ⑧국방소재, ⑨기타 재료로 나누어지며 각각의 하위에 소분류가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